故김기찬 작가 30여년 서울 풍경, 서울역사박물관 기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사진작가 고(故) 김기찬(1938∼2005)씨 유족으로부터 필름 10만여 점과 사진·육필원고·작가노트 등 유품을 일괄 기증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작가의 유족은 이 작품들이 서울의 소중한 기록으로 보존되길 바란다는 뜻을 밝혔다고 박물관 측은 전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이 자료들을 박물관 수장고에 영구 보존하고, 10만여 점에 달하는 필름들은 디지털화하고 색인하는 작업을 거쳐 박물관 홈페이지에 공개할 계획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사진작가 고(故) 김기찬(1938∼2005)씨 유족으로부터 필름 10만여 점과 사진·육필원고·작가노트 등 유품을 일괄 기증받았다고 10일 밝혔다.
김 작가는 1968년부터 30여년간 서울의 변화하는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서울의 달동네에서 시작된 '골목 안 풍경' 사진집 시리즈는 그의 대표작이다. 1960년대 말 우연히 들어선 중림동 골목에서 사람들의 따뜻한 정을 느낀 그는 도화동·공덕동·행촌동 등의 후미진 골목 풍경을 포착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재개발로 달동네와 골목이 하나둘 사라지면서 골목에도 아파트들이 들어섰다. 이에 따라 그의 작업은 더 이어지지 못했다.
작가의 유족은 이 작품들이 서울의 소중한 기록으로 보존되길 바란다는 뜻을 밝혔다고 박물관 측은 전했다. 필름 중에는 도시 개발 이전의 강남과 서울 변두리 지역의 사진 등 미공개 자료들도 다수 포함돼 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이 자료들을 박물관 수장고에 영구 보존하고, 10만여 점에 달하는 필름들은 디지털화하고 색인하는 작업을 거쳐 박물관 홈페이지에 공개할 계획이다.
김 작가는 생전에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04년 옥관문화훈장을 받았고, 이명동 사진상과 동강사진상을 수상했다. 김광태기자 ktkim@dt.co.kr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대통령 말에 `집값 안정` 답 있어…주택 임대사업자 종부세 특혜 폐지해야"
- `아내의 맛` 박영선 장관·나경원 전 의원, 리얼 부부 모습은?
- "추가 대책 주저하지 않겠다"…대통령 `집값 안정 의지` 예사롭지 않다
- "사는 집 아니면 다 팔라"던 이재명, 이번엔 고위공직자 `부동산임대사업 겸직 금지` 적극 검토
- 규제가 키운 서울아파트값, 평당 4000만원 넘었다
- 與野 협치무드에 찬물… `강행처리 - 거부권` 악순환 예고
- 與野 합의 선거제 단일안 내달중 처리… 30일부터 전원위 가동
- 이재명 `당헌 80조 예외` 적용에… 다시 떠오른 `사법리스크`
- MZ 반발에 놀란 尹, 연일 정책 홍보 지시
- 31년만에 방첩사 찾은 尹 "방산 기밀 보호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