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온실가스 2.5만t 감축 기대"..친환경 디스플레이 제품 확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자가 영상디스플레이 제품 분야에서 친환경 전략을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영상디스플레이 제품에 재생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500t 이상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타임스 김위수 기자] 삼성전자가 영상디스플레이 제품 분야에서 친환경 전략을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2만5000t 감축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라이프스타일 TV에 적용하던 '에코 패키지'를 2021년형 전 제품으로 확대한다.
에코 패키지는 TV 배송 후 버려지는 포장재에 업사이클링 개념을 도입해 지난해 첫 선을 보였다. 포장재를 이용해 고양이 집, 소형 가구 등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포장박스에 점 패턴을 적용하고 QR 코드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소품 제작을 위한 설명서를 제공한다.
박스 1개당 1개의 소품만 제작해 업사이클링 한다고 해도 약 1만t이 넘는 온실가스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태양전지를 이용한 친환경 리모컨도 새롭게 선보인다. 2021년형 QLED TV 전 제품에 적용되는 솔라셀 리모컨은 리모컨 자체에 태양전지 패널을 넣어 일회용 배터리 없이 리모컨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크리스탈 UHD TV 일부 모델에는 기존 모델 대비 80% 이상 소비전력을 절감한 절전형 리모컨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친환경 리모컨 적용을 통해 7년간 약 9900만개의 일회용 배터리 사용을 줄이고 약 1만4000t에 달하는 온실가스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그동안 시행해 왔던 재생 플라스틱 사용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재생 플라스틱은 모니터와 사이니지의 스탠드, 뒷면 커버 등에 주로 사용된다.
삼성전자는 영상디스플레이 제품에 재생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500t 이상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2021년 생산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제품 중 친환경 아이템이 적용된 제품의 기대 온실 가스 감축량은 약 2만5000t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이는 30년생 소나무 380만 그루가 1년 간 흡수하는 온실가스의 규모와 맞먹는 수치다.
한종희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사장은 "기업의 친환경 활동은 소비자들에게 제품 그 이상의 가치를 전달하고 보다 나은 미래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사람 중심의 기술 혁신은 물론 환경 보호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통해 업계 리더로서의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위수기자 withsuu@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대통령 말에 `집값 안정` 답 있어…주택 임대사업자 종부세 특혜 폐지해야"
- `아내의 맛` 박영선 장관·나경원 전 의원, 리얼 부부 모습은?
- "추가 대책 주저하지 않겠다"…대통령 `집값 안정 의지` 예사롭지 않다
- "사는 집 아니면 다 팔라"던 이재명, 이번엔 고위공직자 `부동산임대사업 겸직 금지` 적극 검토
- 규제가 키운 서울아파트값, 평당 4000만원 넘었다
- 장하준 교수 "SVB 파산은 2008년 금융위기 후속편"
- "감세로 투자 늘지 않는다는 건 단편적"
- [주목! 이 법안] "노인급식 지원 단가에 물가상승률 반영해야"
- 민주 `입법 폭주`·대통령 거부권, 여론 향배에 달렸다
- "정책 혼선 안돼" 與, 정책위 부의장·정조위원장 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