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보험사 차보험 손실 축소..코로나·보험료 인상 영향

오현태 2021. 1. 10. 09: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보험료 인상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자동차보험 손실이 줄었지만, 여전히 적자 수렁에서 헤어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역대급' 풍수해에도 업계 전체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개선된 것은 코로나19로 차량 이동량이 감소하며 차 사고 발생량이 약 9% 줄었고 연초에 보험료가 평균 3.3∼3.5% 인상된 효과가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보험료 인상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자동차보험 손실이 줄었지만, 여전히 적자 수렁에서 헤어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손해보험 각사에 따르면 자동차보험을 운영하는 12개 보험사 중 흥국화재·AXA손해보험·캐롯손해보험을 제외한 9개사의 자동차보험 마감 결과 작년 전체 손해율은 91.2%로 파악됐습니다.

손해율은 보험금 지출액을 보험료 수입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사업운영비를 고려해 적자를 보지 않는 '적정' 손해율은 80% 선으로 알려졌습니다.

손해보험업계는 2019년에 '최악'의 손해율 99.8%를 기록하며 자동차보험에서만 약 1조 6천억 원에 이르는 영업 손실을 봤습니다. 지난해 자동차보험의 영업 손실은 2019년의 절반 아래로 축소될 것으로 업계는 예상했습니다.

회사별 손해율은 메리츠화재가 82.0%로 가장 낮았습니다.

시장점유율이 합쳐서 80%에 해당하는 주요 4개사(삼성화재, 현대해상,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의 손해율은 84.5∼85.6%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2019년에 손해율이 113.7%로 치솟았던 롯데손해보험은 JKL파트너스에 인수된 후 1년여 만에 손해율이 90.8%로 대폭 개선됐습니다.

2019년 지급여력비율(RBC)에 빨간불이 켜졌던 한화손해보험도 98.0%에서 90.5%로 낮아졌습니다.

MG손해보험의 작년 손해율은 107.5%로 나타나 2019년에 이어 작년에도 가장 높았습니다.

지난해 '역대급' 풍수해에도 업계 전체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개선된 것은 코로나19로 차량 이동량이 감소하며 차 사고 발생량이 약 9% 줄었고 연초에 보험료가 평균 3.3∼3.5% 인상된 효과가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자동차보험에 접수된 하루평균 사고 발생량은 2019년 2만 1천283건에서 지난해 1만 9천402건으로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사고 1건당 손해액(보험금 지급액)이 불어난 탓에 손해율 감소 효과는 기대를 밑돌았습니다.

대인보상이 이뤄진 사고 1건당 평균 손해액은 270만 원에서 299만 원으로, 대물보상 1건당 손해액은 134만 원에서 145만 원으로 각각 불었습니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자동차보험 손실이 줄었다고는 해도 여전히 적자 상태"라며 "보험계리(計理) 수치상으로 보험료를 또 인상해야 하지만 코로나19 등 사회 여건 탓에 (인상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오현태 기자 (highfive@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