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신규 확진 641명..이틀째 6백 명대

신현준 2021. 1. 9. 16: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 6백 명대를 기록했습니다.

정부는 3차 대유행의 정점을 지나 감소세로 판단하고 있지만 변이 바이러스 등 위험요소가 여전하다며 국민들에게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신현준 기자!

오늘 확진자 현황 전해주시죠?

[기자]

오늘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641명입니다.

전날보다 33명 줄면서 이틀째 6백 명대고, 닷새 연속 천 명 아래, 세자릿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수는 지난달 25일 1,240명으로 정점을 찍었는데,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와 5인 이상 모임 금지 등 방역 강화조치가 효과를 보이며 최근엔 감소단계로 접어들었다는 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감염 경로를 보면 국내 발생이 596명, 해외 유입이 45명입니다.

이 중 수도권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80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사망자는 19명 더 늘어나 누적 사망자는 1,100명입니다.

위중증 환자는 409명으로 5명이 늘었습니다.

국내 발생 환자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 180명, 경기 195명, 인천 46명으로 수도권만 421명입니다.

비수도권은 충북이 30명, 충남 26명, 경남 23명, 경북 20명 등입니다.

세종을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에서 환자가 나왔습니다.

[앵커]

방역 당국은 완만한 감소추세에 접어들었다면서도 주의를 당부했죠?

[기자]

방역 당국은 최근 일주일 통계에서 하루 평균 국내 발생 확진자수가 738명으로 감염이 최고조였던 12월 말보다 280명 정도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또 감염재생산지수도 현재 1이 조금 안 되는 정도까지 감소해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언제쯤 정부의 1차 목표인 400~500명 수준이 될 것이냐는 질문에는 정확히 예측하긴 힘들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대목동병원 천은미 호흡기내과 교수는 오늘 오전 YTN에 출연해 현재의 추세가 유지된다면 다음 주 말쯤 4~500명 선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방역 당국은 그러나 종교시설을 중심으로 꾸준히 집단발생이 나오고 있고, 해외 변이 바이러스의 상황 등 위험요인은 여전하다고 지적했는데요.

또 지난 1년간 코로나 1차, 2차, 3차 유행을 거치면서 점점 유행의 크기와 유행이 지속하는 기간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3차 유행의 종결과 2월 말 시작되는 백신 접종을 순조롭게 연결시키기 위해선 환자 발생 수를 떨어뜨려야 하고, 이를 위해선 당분간 강력한 거리두기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앵커]

정부가 요양병원 등에 대한 선제적 조사로 확진자를 많이 찾아냈죠?

[기자]

정부가 최근 2주간 요양병원 등 감염 취약시설을 선제검사한 결과 코로나19 환자 66명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달 21일부터 지난 1일까지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정신병원 등 만여 곳에서 36만여 명을 검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는데요.

이번 선제검사에는 전체 대상기관의 78.9%가, 전체 대상 인원의 82.8%가 참여했습니다.

수도권의 임시선별검사소도 지난달 14일부터 익명 검사를 통해 선제적 검사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현재 총 144곳이 운영 중입니다.

지금까지 92만여 건을 검사해 확진자 2,776명을 조기에 발견했는데요.

검사 대비 확진자 비율은 0.3%입니다.

임시선별검사소는 오는 17일까지만 운영하게 돼 있는데요.

방역 당국은 임시선별검사소가 조기 전파 차단에 성과를 거두고 있는 만큼, 운영 연장을 포함해 효율적 시행방안을 조만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YTN 신현준[shinhj@ytn.co.kr]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현황을 확인하세요.

▶ 대한민국 대표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