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스테이' 나영석표 블록버스터, 온통 K로 가득 채웠다
[엔터미디어=정덕현] tvN <윤식당>이 <윤스테이>로 돌아왔다. 코로나19로 해외에 더 이상 나갈 수 없게 되었고, 그래서 미뤄지다 결국 국내를 선택하면서 식당보다는 '한정된' 인원만 예약을 받아 할 수 있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옥 숙박업을 미션으로 삼게 된 게 <윤스테이>의 기획의도였다.
사실 코로나19 3차유행이 본격화되지 않았던 지난 11월에 촬영된 것이지만, 방영시점이 현재 3차유행의 변곡점을 지나고 있는 상황이라 <윤스테이>가 보여줄 '대면의 풍경'들은 보는 이에 따라서는 불편한 지점들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윤스테이>는 시작 전부터 그 '송구스러운 마음'을 자막으로 전제하고, 방송 중간 중간에도 여러 차례에 걸쳐 사전방역과 철저한 검사를 한 후 촬영에 임했다는 고지를 담았다.
또한 <윤스테이>의 '대면 공간'을 전남 구례에 외부와 격리된 한옥 고택으로 삼은 점도 다분히 코로나 시국을 염두에 둔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원천적으로 우연한 외부인들의 틈입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것이고, 도시에서 떨어진 만큼 코로나의 영향이 적은 지역의 공간을 선택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사전에 예약을 받아 외국인들이 이 곳을 찾아오지만, 모두 사전 검사를 하고 그들만의 시간들을 담아낸다는 점에서 '프라이빗'한 공간이 주는 안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스테이>는 이런 코로나 시국에도 굳이 이 프로그램을 하는 이유 또한 제시했다. 그것은 '한국 체류 1년 미만의 외국인 손님들'로 참여를 제한한 데서 드러난다. '한국 체류 1년 미만'이라는 의미는 나영석 PD의 설명대로 일 또는 학업 때문에 한국에 들어왔지만 코로나 때문에 외부활동을 거의 못하신 분들이고 그만큼 한국문화를 접할 기회가 없는 분들이라는 뜻이다. 그러니 이분들을 위해 1박2일 간의 한옥 스테이를 통해 한옥과 한식 같은 한국문화를 경험하게 해준다는 취지가 그 안에는 들어 있다.
<윤스테이>는 그래서 최근 들어 해외에서도 이른바 'K'를 붙여 지칭하곤 하는 한국의 다양한 문화들을 그 시공간 안에 채워 넣었다. 먼저 곶감을 매달아 놓은 풍경과 대나무 사이로 난 길을 걸어 올라가면 널찍한 정원을 만나고 그 곳에 비밀스럽게 들어 앉아 있는 고즈넉한 한옥이라는 공간이 그렇다. 그 곳을 찾은 외국인들은 옛날에 사용하던 자물쇠를 여는 것만으로도 신기해하고, 털 달린 고무신을 신고 즐거워한다. 구비되어 있는 팽이나 제기 같은 전통놀이를 해보기도 하고, 구들장이나 비밀공간을 발견하고는 반색한다.
'한식은 손맛'이라며 떡갈비를 위해 고기를 다지는 데만 1시간 넘게 들어갈 정도로 정성이 가득한 매 끼니들은 아마도 <윤스테이>의 가장 흥미로운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베지테리안을 위한 요리는 물론이고, 매운 음식을 잘 못 먹는 외국인들을 위한 덜 매운 요리들까지 손님 하나하나에 신경을 쓴 서비스들에 담길 가족 같은 '한국의 정'도 빼놓을 수 없다.
하지만 예능프로그램으로서 그저 훈훈한 광경만이 아닌 '긴장감' 또한 <윤스테이>는 놓치지 않았다. <윤식당>처럼 음식과 접객에만 신경 쓰면 되는 것과 달리 <윤스테이>는 하루 숙박이 갖는 무게감이 더해진다. 손님을 픽업해와야 하고, 좀 더 편안한 잠자리를 위해 숙소도 준비되어야 한다. 식사 때가 되면 한꺼번에 몰리는 손님들을 불편함 없이 접대해야 하는 숙제도 만만찮다. 과연 이걸 잘 해낼 수 있을 것인가가 적당한 긴장감을 제공하고, 그걸 해냈을 때의 뿌듯함 같은 걸 시청자들도 느끼게 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윤스테이>가 'K'로 가득 채운 나영석표 블록버스터 예능이라는 걸 잘 보여주는 건 출연자들의 면면일 게다. 최근 영화 <미나리>로 미국 영화제를 휩쓸고 있는 윤여정은 물론이고, <보건교사 안은영>과 영화 <82년생 김지영>으로 주목받는 정유미, 영화 <기생충>의 최우식과 박서준 그리고 나영석표 예능의 페르소나나 다름없는 이서진까지. 아마도 K콘텐츠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들이라면 이들이 접객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놀라울 수밖에 없다.
코로나 시국은 여러모로 예능 프로그램에 장애요소들을 가져왔다. 해외로 나가던 예능들은 그래서 국내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고, 그나마 누군가를 만나는 일조차 '거리두기'로 인해 꺼려지거나 불편해지는 상황마저 만들었다. <윤스테이>는 그런 불편한 지점이 있다는 걸 스스로 인정하면서 '송구한' 마음을 전제하고는, 최대한 조심하며 이 장애요소들을 오히려 기회로 삼으려는 선택을 했다. '거리두기'로 인해 지친 시청자들에게 일종의 대리충족의 기회를 주겠다는 것. 중요한 건 '진정성'일 게다. 그저 강행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애초 취지에 맞게 한국문화를 체험하게 해주겠다는 그 진심이 전달될 때 시청자들은 불편함이 아니라 잠시 동안의 숨 쉴 기회를 가질 수 있을 테니.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허쉬’, 노회한 손병호가 황정민·윤아를 총알받이로 동원할 때 - 엔터미디어
- 시청률·화제성 장악 ‘윤스테이’, 쌍산재 훼손 우려는 옥에 티 - 엔터미디어
- 차인표를 발가벗긴 영화 ‘차인표’, 웃기기보단 처절한 이유 - 엔터미디어
- ‘어쩌개’, 어설픈 방송꾼들 부끄럽게 만든 조윤희의 진심 - 엔터미디어
- ‘런 온’, 기막히게 좋은 ‘대사빨’과 대비되는 빈약한 스토리 - 엔터미디어
- ‘골목’ 역대급 포만감, 원주할머니가 채워준 마음의 허기 - 엔터미디어
- ‘바람피면’ 조여정, 압도적인 화면 장악력이란 이런 것 - 엔터미디어
- ‘낮과 밤’ 사이다와 고구마 시대, 애매한 경계인 남궁민의 가치 - 엔터미디어
- ‘펜트하우스’, 아무도 이지아의 부활을 의심치 않는다는 건 - 엔터미디어
- ‘싱어게인’, 실명 공개는 넣어두시고 노래 한 곡 더 부탁해요 - 엔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