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삼성전자·TSMC와 7나노 칩 위탁생산 협의 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반도체 제조 미세공정인 7나노 공정 전환이 지연되고 있는 미국 대표 반도체회사 인텔이 이를 타개하기 위해 대만 TSMC, 한국 삼성전자(005930)로부터 제품을 아웃소싱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복수의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인텔이 오는 2023년부터 생산을 시작하는 자사 핵심 반도체칩 생산을 TSMC 또는 삼성전자로부터 위탁 생산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주 내 공식 발표 가능성"..21일 실적 발표일 주목
삼성전자에 비해 TSMC와의 협의가 더 진전된 듯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반도체 제조 미세공정인 7나노 공정 전환이 지연되고 있는 미국 대표 반도체회사 인텔이 이를 타개하기 위해 대만 TSMC, 한국 삼성전자(005930)로부터 제품을 아웃소싱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복수의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인텔이 오는 2023년부터 생산을 시작하는 자사 핵심 반도체칩 생산을 TSMC 또는 삼성전자로부터 위탁 생산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위탁 생산은 일러야 2023년이 될 것이며 기존 고객들이 위탁생산하던 라인을 활용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TSMC에 비해 삼성전자와의 논의는 좀더 예비 단계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다만 이 소식통은 인텔이 TSMC나 삼성전자와의 위탁생산 여부를 2주 내에 최종 결정해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인텔은 오는 21일에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인텔은 7나노 공정 전환 지연으로 인해 최근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인텔의 오랜 고객이었던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도 인텔에 의존하는 대신에 직접 설계한 반도체를 파운드리를 통해 생산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지난해 10월 밥 스완 인텔 최고경영자(CEO)도 “2021년 1월 말까지는 자체적인 7나노 생산능력을 확대할지, 아니면 제3의 파운드리업체를 통해 위탁생산할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보도에 대해 인텔은 물론이고 TSMC나 삼성전자도 즉답을 피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정훈 (futures@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그알' 제작진 "CCTV 속 정인이, 예쁜 옷 만지작..가장 힘들었다"
- `코스피 3000`·`비트코인 4000만원` 시대…세금은 얼마나?
- "27개 광고, 최대 1500만원 받아"…핫도그tv, 뒷광고 의혹 인정
- 조두순, 月 120만원 받을 가능성↑…"세금이 아깝다" 靑 청원
- "미국은 주적"…바이든에 경고장 날린 김정은
- 장경태, 백신 서둘러야 한다는 野에 "코로나 마루타 하자는 것"
- [슈팅스타] 황하나, 영화 같은 마약 사건 ‘마약 조직원까지..’
- `트윗이 날 만들었다`던 트럼프, 트위터서 영구 퇴출(종합)
- [직장인해우소] 폭설에 갇힌 '언택트'…"눈 속 배달은 살인"
- [온라인 들썩]“시끄러운 고양이 잡아 죽였다” 영상 공유…“제발 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