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기에 더 강해진 삼성전자, 지난해 36조 벌었다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던 3분기에 비해 감소했지만 업계에서는 선방했다는 평가다.
4분기 들어 반도체 가격 하락과 스마트폰 판매 부진으로 전분기보다 이익이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과 '집콕' 수요 증가로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은 2019년 대비 대폭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연결 기준 잠정 영업이익이 35조9500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29.46% 증가한 수치다.
매출은 총 236조26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54% 늘었다. 비슷한 매출 규모에 영업이익이 대폭 증가했다는 것은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는 의미다.
지난해 상반기 삼성전자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예년에 비해 부진했지만 3분기 들어 '펜트업'와 비대면·집콕 수요가 폭발하면서 주력인 반도체와 스마트폰 여기에 가전까지 가세하면서 실적이 크게 늘었다.
실제 3분기 실적은 매출은 66조9600억원, 영업이익은 12조3500억원으로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매출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며, 영업이익은 2018년 4분기 이후 7분기만에 10조원을 탈환한 것이다.
4분기만 보면 영업이익 9조원, 매출 61조원으로 2019년 동기 대비 각각 25.7%, 1.87% 늘었다.
다만 전기보다는 실적이 둔화됐다.
4분기 들어 반도체 가격이 하락하고 원달러 환율 급락, 스마트폰 판매 감소 등이 이유다.
증권가는 삼성전자의 4분기 영업이익이 반도체 4조3000억원, 소비자가전(CE)부문 8000~9000억원, 모바일(IM) 부문 2조3000억~2조4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반도체는 서버용D램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과 원달러 환율 급락으로 3분기보다 영업이익이 1조원 이상 줄어든 것이다.
IM 부분에서도 3분기 신형 갤럭시 시리즈로 4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경쟁 제품인 애플 아이폰12 흥행과 유럽 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4분기 영업이익은 1조6000억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증권가는 분석하고 있다.
가전과 TV 등도 블랙프라이데이 등 연말 할인 판매와 마케팅 비용 증가로 3분기 보다 수익성이 떨어졌다.
반면 디스플레이(DP)는 지난해 하반기 스마트폰과 TV 등 OLED와 LCD 패널 단가가 급등하면서 1조5000억원 내외의 높은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예측됐다.
[이상규 매경닷컴 기자 boyondal@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2시간에 10만원 벌었다"…폭설·한파에 반짝호황 `뚜벅이 배송`
- 코로나19 위기에 더 강해진 삼성전자, 지난해 36조 벌었다
- 최정우 포스코 회장의 새해 첫 현장경영 일성은 "안전"
- 코로나19 방역에 동국제강이 맹활약하는 까닭은…
- 두산밥캣, 美 `무인솔루션` 기업 지분투자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