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있저] '아동학대' 처벌법..통과만이 능사는 아니다

변상욱 2021. 1. 7. 20: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에도 얘기가 있었습니다마는 아동학대.

관련 통계 보고서들을 다시 찾아서 한 장씩 넘기며 읽어봤습니다.

보시죠. 2014년 1만 명에서 시작해서 3만 명까지 계속 늘고 있습니다.

이것은 사건이 늘었을 수도 있지만 신고나 적발이 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두 개가 합쳐졌겠죠. 의심되는 신고를 조사해서 학대라고 최종 결론 내린 건수들입니다.

여기에 의심되는 것은 이 숫자보다 20% 더 많고 신고된 것은 이 숫자보다 30% 정도 더 많습니다.

그다음 심각한 아동학대 사망을 보죠.

역시 14명에서 출발해서 42명까지 계속 늘고 있습니다.

2019년 사망, 42명 중에 절반은 1살 미만의 신생아와 영아였습니다.

3살 아래 신생아, 영아, 유아의 사망이 몰려 있습니다.

그다음 거 한번 보시겠습니까.

도대체 누가 그렇게 아동을 학대하는가.

부모가 75.6, 저쪽에 보시면 친인척이 4.4.

둘을 합치면 80%입니다.

남보다 가까운 사람이 더 무섭다고 해야 될지요.

또 다른 상처가 될까 봐 가장 조심스러워던 페이지도 열어봤습니다.

사망한 피해 아동들의 가정환경은 어땠을까.

친부모 가정이 52.4%, 22명.

그리고 우리가 계속 논란을 보였던 입양한 가정은 딱 1명이었습니다.

2.4%. 그러니까 가족의 형태하고 그렇게 크게 관련은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문제의 해결이 결코 쉬워 보이지 않습니다.

2만 명, 3만 명의 아이들을 때리는 부모로부터 떼어놓으면 도대체 어디에다 아이들을 데려다놓고 키울 건가.

몇 년을 키워야 되는가.

여러 가지 문제가 많습니다.

처벌법 통과에 앞서서 학대방지시스템과 우리의 상황을 좀 더 꼼꼼히 점검하고 정비를 해야겠습니다.

변상욱의 앵커리포트였습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현황을 확인하세요.

▶ 대한민국 대표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