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ehold debt time bomb (KOR)

2021. 1. 7. 19: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의 불명예스러운 '세계 최고' 목록이 하나 더 늘었다.

지난해 9월 기준으로 1941조원에 이른 가계부채 얘기다.

레바논은 지난해 8월 베이루트 항구 폭발로 GDP의 30%가량이 감소한 특수 상황인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한국이 세계 1위인 셈이다.

원리금 상환 유예가 연장되지 않는다면 올해 말 9.4~10.4%로 치솟는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 list of dishonorable "World's Bests" for Korea has a new entry. As of September 2020, Korea's household debt reached 1.941 quadrillion won ($1.79 quadrillion). The household debt-to-GDP ratio is 101.1 percent. For the first..

SOHN HAE-YONG The author is the head of economic policy team of the JoongAng Ilbo.

The list of dishonorable “World’s Bests” for Korea has a new entry. As of September 2020, Korea’s household debt reached 1.941 quadrillion won ($1.79 quadrillion). The household debt-to-GDP ratio is 101.1 percent. For the first time, the ratio surpassed 100 percent, 16.5 percent up from a year ago. That means a year’s earning of the country cannot pay back the debts our households borrowed.

It is an overwhelming number internationally. While there is a small difference in number, IMF research also showed Korea’s household debt-to-GDP ratio rose to 100.6 percent, drastically higher than the world average of 65.3 percent. It is even higher than the 81.2 percent of the United States, a country known for its spending.

Korea is ranked in second place among 34 countries after Lebanon (116.4 percent). Considering Lebanon’s unique situation — the Beirut Harbor explosion resulting in a 30-percent decrease in GDP — Korea is practically topping the list.

What matters is not only the size but the quality. Rather than spending or investing in businesses with borrowed money, Koreans get loans to invest in real estate and stocks as a result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s repeated failed real estate policy.

The situation represents an economy not moving in a productive direction. When you make money and pay back the principle, your spending power decreases. That leads to a vicious cycle of shrinking demand, lowered economic vitality and decreased income. If the Covid-19 crisis continues, the vulnerable class would not be able to handle the debt and will be pushed off the cliff.

I am worried that insolvent household debt will surface due to a liquidity crunch this year. The government plans to tighten household loans to control real estate prices. Banks are not willing to extend the interest grace period to help overcome the impact of Covid-19. As a result, the weakest link of the economy — small-business owners — is expected to be the detonator for household debt insolvency.

The Bank of Korea expects that small-business owners that cannot continue will double from 3.2 percent in March 2020 to 6.6 to 6.8 percent in March 2021. If the principal and interest payback grace period is not extended, the figure will surge to 10.4 percent by the end of the year.

A fundamental solution is to reduce household debt. But it is impossible realistically. The focus should be on boosting the economy, including deregulation, to increase employment and investment. When household income grows, the burden to pay back debt can be lessened and the crisis will subside. But unfortunately, I cannot see any visible steps to rebooting the economy under this administration, even when the household time bomb is ticking and closing in on zero.

사실상 세계1위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gdp 대비=""> 손해용 경제정책팀장

한국의 불명예스러운 '세계 최고' 목록이 하나 더 늘었다. 지난해 9월 기준으로 1941조원에 이른 가계부채 얘기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은 101.1%까지 올랐다. 100%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년 전보다 16.5%포인트 뛰었다. 나라 전체가 1년간 번 돈을 다 합쳐도 가계가 빌린 돈을 감당할 수 없게 됐다는 뜻이다.

세계적으로도 비교해도 압도적이다. 수치는 미세하게 차이가 나지만, 국제금융협회(IIF) 조사에서도 한국(100.6%)은 세계 평균(65.3%)을 크게 웃돈다. 소비가 저축보다 많은 과잉소비로 유명한 미국(81.2%)보다도 높다. 비교 대상 34개국 중에선 레바논(116.4%)에 이어 2위다. 레바논은 지난해 8월 베이루트 항구 폭발로 GDP의 30%가량이 감소한 특수 상황인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한국이 세계 1위인 셈이다.

빚의 규모도 문제지만, 질이 좋지 않다. 빌린 돈으로 소비하거나 사업에 투자하기보다는 부동산ㆍ주식으로의 이른바 ‘빚투’(빚을 내 투자)를 늘려서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 영향이 크다.

이는 경제가 생산적인 방향으로 흐르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벌어들인 돈으로 원리금을 갚다 보면 소비 여력이 준다. 내수 위축으로 경제 활력이 떨어지고 다시 소득이 줄어드는 악순환에 빠진다. 이런 점에서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 취약계층부터 빚을 감당하지 못하고 벼랑 끝으로 내몰릴 수 있다.

올해 유동성 가뭄으로 가계부채 부실이 수면 위로 떠오를 것이라는 우려는 이 연장 선상이다. 정부는 부동산 가격을 잡기 위해 가계대출을 조일 예정이다. 은행들은 코로나19 위기 극복 명목으로 지원했던 이자 유예조치의 연장은 힘들다는 입장이다. 경제의 ‘약한 고리’인 자영업자ㆍ소상공인이 가계부채 부실화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자영업자 가운데 금융자산을 깨도 일반 생활이 힘든 '유동성 위험' 가구가 지난해 3월 3.2%에서 올해 3월 6.6~6.8%로 두배가 될 것으로 봤다. 원리금 상환 유예가 연장되지 않는다면 올해 말 9.4~10.4%로 치솟는다.

근원적인 해법은 가계 빚을 줄이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고용ㆍ투자를 늘리는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규제 완화, 기업 활력 제고 등이 예다. 이를 통해 가계의 소득이 늘면 빚을 갚는 부담을 덜 수 있고, 그만큼 위기는 잦아들게 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정부에서 경제 활성화와 관련된 가시적인 성과는 찾아보기 힘들다. 가계부채 시한폭탄의 시계는 째깍째깍 제로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데도 말이다. </gdp>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