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AI 원팀' 첫 연구성과 공개.."4개 기술 산업현장에 즉시 적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T 주도로 결성된 인공지능(AI) 산학연 협력체 'AI 원팀'이 출범 10개월여 만에 첫 공동 연구개발(R&D) 성과를 내놨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용해 '데이터 활용-AI 기술개발-상용화-산업문제 해결'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는 목표다.
KT는 7일 AI 원팀이 공동 개발한 기술 4종을 공개했다.
P-TTS 기술은 KT와 김회린 KAIST 교수가 함께 개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봇 고장 AI로 진단하기도
KT 주도로 결성된 인공지능(AI) 산학연 협력체 ‘AI 원팀’이 출범 10개월여 만에 첫 공동 연구개발(R&D) 성과를 내놨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용해 ‘데이터 활용-AI 기술개발-상용화-산업문제 해결’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는 목표다. KT는 7일 AI 원팀이 공동 개발한 기술 4종을 공개했다. AI 원팀은 작년 2월 AI 기술 개발 및 인재 양성을 위해 결성됐다. KT와 현대중공업그룹, LG전자, LG유플러스, KAIST, 한양대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딥러닝 음성합성(P-TTS)과 엔드투엔드(E2E) 음성인식, 무빙 픽처, AI 기반 로봇 고장 진단 기술이다.
P-TTS 기술은 KT와 김회린 KAIST 교수가 함께 개발했다. 속도가 기존 방식보다 10배가량 빨라지고 비용은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는 설명이다. KT는 1분기에 이 기술을 자사 AI 콘택트센터(AICC)와 차세대 기가지니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KT와 장준혁 한양대 교수가 함께한 E2E 음성인식은 사양 증강, 데이터 증강 등 최신 학습기술을 적용해 기존 방식보다 단어 오류율을 7% 이상 낮췄다.
무빙 픽처 솔루션은 이미지에 모션 효과를 적용해 영상으로 바꾸는 AI 기술이다. 김태현 한양대 교수가 참여했다. KT는 인터넷TV(IPTV)와 포스터, 웹툰,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기로 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이 한양대와 공동으로 개발한 AI 기반 로봇 고장 진단 기술은 진동 신호에 음성처리 기술과 딥러닝 기술을 적용해 감속기 이동을 탐지할 수 있다. 현대중공업은 이 기술을 다양한 로봇 제품에 적용해 자동화 라인의 유지보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s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포트폴리오 조정 나선 국민연금…최근 사고 판 종목은?
- "아이 셋 낳으면 대출 1억 탕감"…현금 살포 나선 지자체들
- '잡초'라며 무시하더니…美·유럽, '한국산 슈퍼푸드'에 열광
- 외국인들이 꼽은 인기 한식 1위는 치킨…최악은 '○○'
- GTX 노선 따라…한 달 새 아파트값 1억원 넘게 올랐다
- '집유 중 마약' 황하나 끝내 구속…과거 라방 주사자국 선명
- '별풍선에 이런 짓까지?' BJ땡초, 지적장애인과 '벗방' 긴급체포
- 故 빅죠 마지막 남긴 말 "여러분 저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 채림, 이혼 후 근황 "15세 때부터 일…쉽게 얻어지는 건 쉽게 잃어"
- 빅죠 사망, 향년 43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