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소사] 1558년, 프랑스 칼레 수복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558년 1월 8일 프랑스 북부 칼레.
영국은 백년전쟁에서 패배하며 프랑스 영토를 모두 잃은 후에도 칼레만큼은 굳건히 지켜왔다.
프랑스인을 추방하고 자국민을 이식한 영국은 칼레를 최대 무역항으로 키웠다.
스페인과 전쟁을 벌이던 프랑스는 영국의 불만과 반격을 막으려 '80년 뒤에 돌려주겠다'는 덧없는 약속으로 영국인의 자존심을 지켜주며 칼레를 완전히 되찾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왕은 ‘내 심장에 칼레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을 것’이라는 말도 남겼다. 왕실 전통에 따라 시신을 미라로 만들기 위해 메리의 장기를 들어내니 심장이 검은색이었다는 얘기가 내려온다. 국가가 입은 상실과 좌절감은 더 컸다. 노르망디공 윌리엄이 영국을 점령한 이래 유럽 대륙에서 유지하던 영토가 완전히 사라진 탓이다. 영국 국왕이 다스리던 대륙의 땅이 프랑스 국왕보다 많았던 시절도 있었으니 상실감이 클 수밖에 없었다.
칼레가 영국 영토로 편입된 시기는 백년전쟁 초기인 1347년. 에드워드 3세와 흑태자에 의해서다. 자주 회자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원형이 나온 바로 그 시기다. 프랑스 기사단을 격멸한 직후, 가볍게 접수하려던 어촌 칼레가 11개월 넘게 저항하자 에드워드 3세는 ‘씨를 말리라’는 엄명을 내렸다. 분노한 영국 국왕 앞에 프랑스 귀족들이 엎드려 ‘우리가 죽겠으니 무고한 양민을 살려달라’고 간청한 것이 근대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시발점. 영국은 백년전쟁에서 패배하며 프랑스 영토를 모두 잃은 후에도 칼레만큼은 굳건히 지켜왔다.
경제적 가치도 컸다. 프랑스인을 추방하고 자국민을 이식한 영국은 칼레를 최대 무역항으로 키웠다. 관세 수입이 영국 왕실 주머니의 3분의 1을 채운 적도 있다. 왕에게 돈을 빌려주고 독점권을 행사하며 200년 넘게 번영하던 무역상과 양모업자들도 칼레의 상실로 재산을 모두 잃었다. 스페인과 전쟁을 벌이던 프랑스는 영국의 불만과 반격을 막으려 ‘80년 뒤에 돌려주겠다’는 덧없는 약속으로 영국인의 자존심을 지켜주며 칼레를 완전히 되찾았다.
영국이 칼레를 싱겁게 빼앗긴 이유는 사랑에 눈이 먼 메리 1세의 판단 착오. 아홉 살 연하인 남편이자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의 부탁을 받자 아무런 이득도 없이 프랑스·스페인 전쟁에 끼어들어 화를 불러들였다. 영국에 다행이었던 점은 후임 엘리자베스 1세의 리더십. 섬나라로 전락한 데 좌절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해양 세력을 키워 대영제국의 기틀을 잡았다. 어떤 위기에도 기회는 있다. /권홍우 선임기자 hongw@sedaily.com
Copyright©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인이' 이어 '원주 3남매 사건'도 주목…항소심서 뒤집힐까
- 국내 최대 마약공급책 '바티칸 킹덤' 구속…황하나 지인도 연루?
- '콩고 왕자' 라비, 조건만남 사기에 동생 조나단까지 불똥
- '100년 된 1.2kg 초대형 산더덕 발견'...항암물질 일반 산삼의 2배
- '정인이를 이용하다니…' 비판 쏟아진 '정인이 굿즈' 작가, 소속 협회서 제명
- 방역대책 회의에 '노마스크'로 참석한 여가부 장관
- 외국인의 '최애' 한식은 치킨·김치... 싫어하는 메뉴는?
- '휴대폰으로 머리 맞아 홧김에'...친형 살해하고 자수한 40대
- 코로나 사망자, 감염 안된 뇌도 손상…혈관손상·염증흔적 발견
- [단독] 한미약품 9주가 9,700만원? 황당한 고위공직자 주식매각 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