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성 맹세가 국보된다고?..조선 숙종 공신들의 회맹제 문서

전지현 2021. 1. 7. 13: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물 제1513호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종묘축제문). [사진 제공 = 문화재청]
1680년 8월 30일 조선 숙종과 공신들이 천지신명에게 제사를 지내는 회맹제(會盟祭)가 열렸다. 역대 공신(功臣)과 그 자손들이 참석해 임금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1694년 이날을 기록한 조선 왕실 최대 규모 문서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가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된다.

문화재청은 7일 실물과 관련 기록이 온전하게 남아 있고 가로 25m에 달하는 조선왕실문서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보물 제1513호)를 국보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회맹제가 거행되고 14년 후에 회맹축이 조성된 것은 숙종 재위 기간(1674∼1720년)에 일어난 여러 사건 때문이었다. 당시 남인과 함께 권력의 중심에 있었던 서인은 1680년 남인이 정권에서 물러난 경신환국을 계기로 집권해 공신이 됐으나, 1689년 기사환국으로 공신 지위가 박탈됐다. 이후 서인은 1694년 갑술환국으로 재집권하면서 공신 지위를 회복했다.

기사환국은 숙종의 계비였던 희빈 장씨의 원자 책봉 문제로 남인이 서인을 몰아낸 사건이다. 갑술환국은 폐비 민씨(인현왕후) 복위 운동을 반대한 남인이 화를 입어 서인이 재집권한 것이다.

문화재청은 "숙종 재위 때 공신 지위 부여와 박탈, 회복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맹축은 회맹제 당시 종묘사직에 고하는 제문인 회맹문, 공신과 그 후손 등 총 489명의 명단을 기록한 회맹록, 종묘에 올리는 축문과 제문으로 구성돼 있다. 말미에는 제작 사유와 연대를 적었고 '시명지보'라는 국새를 찍어 왕실 문서로서 완벽한 형식을 갖췄다.

현재까지 문헌상으로 존재가 확인된 회맹축은 1646년(인조 24년)과 1728년(영조 4년)에 제작된 것을 포함해 총 3건이다. 영조 때 제작된 회맹축은 실물이 발견되지 않았고, 1646년에 제작된 '20공신회맹축-영국공신녹훈후'(보물 제1512호)는 국새가 날인돼 있지 않다.

이날 문화재청은 '구미 대둔사 경장'과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구미 대둔사 경장은 1630년(인조 8년)에 조성된 경장(불교 경전을 보관한 장)으로, 조선 시대 불교 목공예품 중 명문을 통해 제작 시기가 명확하게 파악된 매우 희소한 사례다.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은 높이 11m에 이르는 대형 불화 1폭과 각종 복장물을 넣은 복장낭, 복장낭을 보관한 함을 포함한 복장유물로 구성돼 있다. 특히 괘불도는 조선 후기 우두머리 승려 화가인 유성(有誠)을 비롯해 경상도 지역 화승 23명이 참여해 제작한 것으로, 18세기 후반기 불화의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문화재청은 예고기간 30일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한 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및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전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