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이 25m의 충성서약문 국보되는 이유..환국정치의 상징물

이기환 선임기자 2021. 1. 7. 10: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국보로 승격되는 ‘보물 제1513호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 숙종 때까지 20여차례에 걸쳐 공신이 된 인물들의 후손이 모여 충성서약을 맺은 결과물이다.|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회맹(會盟)의식’이 있었다.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의 산물이었다.

천자국인 주나라가 힘을 잃은 뒤부터 시작됐다. 강대한 제후국 군주는 이름 뿐인 주나라왕을 대신하여 천하를 주물렀다. ‘회(會)’는 일정한 의제와 장소, 시간을 정해 다른 제후국 군주들이 모이는 것을 이른다. ‘맹(盟)’은 회맹에 참여한 제후들이 차례로 제물의 피를 입술에 바르는 의식을 말한다. 이를 ‘삽혈(삽血)’이라 한다. 회맹을 주도한 제후가 가장 먼저 삽혈했다. 이 제후는 다른 제후들에 의해 패자(覇者)로 추대됐다. 의제 합의가 이뤄졌을 때는 맹서문을 작성했다. 맹주(패자)는 제물인 소의 왼쪽 귀를 절단해서 그 피로 조약문을 작성했다. 조약문은 ‘배신하는 자는 공동토벌로 응징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런 다음 이들의 공을 기념하기 위해 교서를 두루마리(軸)로 만들어 내려주었다. 이것을 공신축이라 한다.

이 공신축은 경신환국-기사환국-갑술환국 등 숙종 시기에 벌어진 3차례 친위쿠데타(환국)의 우여곡절을 보여주는 문서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조선 개국후에도 여러차례 임금이 신하들의 충성을 다짐받는 회맹식을 열었다. 나라를 여는데, 전쟁을 극복하는데, 변란을 진압하거나 반정을 성공으로 이끄는데 공을 세운 공신들의 회맹식이 그것이다.

문화재청은 7일 회맹식 후 임금이 내린 교서축 중 실물과 관련 기록이 완전히 남아 있고 25m에 달하는 큰 규모를 갖춘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보물 제1513호)를 국보로 승격지정 예고했다. 또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과 ‘구미 대둔사 경장’을 보물로 각각 지정 예고했다. 이밖에 ‘문경 봉암사 마애여래좌상’등 조선시대 불교문화재 3건은 보물로 지정했다.

‘구미 대둔사 경장’. 1630년(인조 8년)에 조성된 경장(불교경전을 보관한 장)이다. |대둔사 소장

이번에 국보로 승격지정될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2007년 4월20일 보물 지정)는 1680년(숙종 6년) 8월30일 열린 왕실 의식인 ‘회맹제’를 기념하기 위해 1694년(숙종 20년) 녹훈도감에서 제작한 왕실 문서다. 이 의식에는 왕실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이름인 ‘공신(功臣)’ 중 개국공신(開國功臣)부터 보사공신(保社功臣)에 이르는 역대 20종의 공신이 된 인물들과 그 자손들이 참석해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이중 보사공신들은 서훈-박탈-회복 등의 우여곡절을 겪은 사람들이다.

그 것이 회맹제가 거행된 시기(1680년)와 이 회맹축을 조성한 시기(1694년)가 14년 정도의 차이가 나는 이유이다. 숙종 재위 기간(1674~1720년) 중 일어난 3차례의 친위쿠데타 때문이었다. 당시 남인과 더불어 정치 중심세력중 하나였던 서인은 1680년 경신환국으로 집권한 뒤 공신이 됐다. 그러나 9년 만인 1689년(숙종 15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정권을 잡자 공신 지위가 박탈됐다. 그러나 서인이 1694년(숙종 20년) 갑술환국으로 재집권하자 공신 지위를 회복했다. 1등~3등까지 총 6명(김만기, 김석주, 이입신, 남두북, 정원로, 박빈)에게 ‘보사공신’ 칭호가 내려졌다. ‘보사공신’은 ‘사직(社)을 지킨(保) 공신’이라는 뜻이다.

이번에 국보로 지정 예고된 회맹축은 숙종 연간 보사공신이 있기까지 공신으로 지위 부여(녹훈·錄勳)와 박탈(삭훈·削勳), 회복(복훈·復勳)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실물이라는 점에서 가치를 평가받았다. 1680년 회맹식에 참여한 20공신은 개국공신(1392), 정사공신(1398·1차 왕자의 난), 좌명공신(1401·2차 왕자의 난), 정난공신(1453·계유정난) 등 20차례의 전쟁·정난·반란 등에서 공을 세운 이들이다.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는 1680년 회맹제 거행 당시 회맹문(종묘사직에 고하는 제문), 보사공신을 비롯한 역대 공신들과 그 후손들을 포함해 총 489명의 명단을 기록한 회맹록, 종묘에 올리는 축문(祝文·제사 때 신에게 축원하는 글)과 제문으로 구성됐다. 축의 말미에 제작 사유와 제작 연대를 적었고 ‘시명지보(施命之寶)’라는 국새를 마지막으로 찍어 왕실 문서로서 완전한 형식을 갖추었다.

1680년 열린 회맹연에는 참석대상 총 489명 중 412명이 참석했다. 참석하지 못한 사람들은 연로하거나 상(喪)을 당한 사람, 귀향 등으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 높이 11m에 이르는 대형 불화 1폭과 각종 복장물을 넣은 복장낭, 그리고 복장낭을 보관한 함을 포함한 복장유물로 구성되었다.|남장사 소장

회맹축의 제목은 ‘20공신회맹축’이다. 조밀하게 짠 옅은 황비단 위에 붉은 선을 가로 세로로 치고 그 안에 단정한 글씨로 써내려갔다. 가로 약 25m에 달하는 긴 문서의 양 끝은 붉은색과 파란색 비단을 덧댔다. 위 아래를 옥(玉)으로 장식한 축으로 마무리해 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어람용(御覽用) 문서답게 매우 화려하면서도 정갈한 인상을 준다. 특히 이 회맹축의 경우 어람용 회맹축의 제작 과정을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관련 기록인 <녹훈도감의궤>가 함께 전해진다. 예컨대 긴 두루마리의 글씨는 서사관(書寫官·왕실의 특정 행사를 위해 차출되어 글씨 쓰는 업무를 담당한 관리)으로 발탁된 문신 이익신(1631~?)이 썼고, 화원 한후방(韓後邦)이 붉은 선을 그린 사실, 평안도에서 생산한 옥이나 상아, 비단과 같은 최고급 재료를 사용한 사실, 숙련된 기량을 지닌 장인을 차출하기 위한 논의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조선 시대에는 공신회맹제가 있을 때마다 어람용 회맹축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1910년까지 문헌을 통해 전래가 확인된 회맹축은 3건에 불과하다. 1646년(인조 24년)과 1694년(숙종 20년) 제작된 회맹축, 1728년(영조 4년) 분무공신 녹훈 때의 회맹축이 그것이다.

이중 영조 때 만들어진 ‘20공신회맹축’의 실물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고, 1646년에 제작된 보물 제1512호 ‘20공신회맹축-영국공신녹훈후’에는 국새가 날인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어람용이자 형식상, 그리고 내용상 완전한 형태로 전래된 회맹축은 이 ‘20공신회맹축-보사공신녹훈후’가 유일하다.

박수희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연구관은 “이 회맹축은 17세기 후반 숙종 대 경신환국, 기사환국, 갑술환국을 거치면서 서인과 남인의 정쟁으로 혼란스러웠던 정국을 수습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당시 정치적 상황을 보여주는 사료”라고 평가했다.

한편 새롭게 보물로 지정 예고된 ‘구미 대둔사 경장’은 1630년(인조 8년)에 조성된 경장(불교경전을 보관한 장)이다.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은 높이 11m에 이르는 대형 불화 1폭과 각종 복장물을 넣은 복장낭(腹藏囊), 복장낭을 보관한 함을 포함한 복장유물로 구성됐다. 이처럼 불화와 함께 복장유물을 놓은 복장낭이 온전하게 일괄로 남아 있는 사례는 매우 드물다.

이기환 선임기자 lkh@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