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토픽] 비철금속 - 구리 테마, 풍산 +7.57%, LS ELECTRIC +2.79%

C-Biz봇 2021. 1. 7. 09: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테마가 강세다.

테마 설명비철금속은 철 이외의 금속으로 아연, 알루미늄, 구리(동), 납(연) 등이 있음.

영국 런던금속거래소(LME) 구리 가격은 2020년 초 코로나19 충격으로 글로벌 경기 위축 우려가 불거지면서 하락세를 보였음.

2020년 11월 30일(현지시간)에는 런던금속거래소(LME) 구리 가격이 전일대비 212.5달러(2.74%) 오른 톤당 7674달러로 7년래 사상최고가 기록.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해당 언론사의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서 작성된 기사입니다.

[비철금속 - 구리]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48% 상승세이다. 풍산(103140)+7.57%, LS ELECTRIC +2.79%, LS(006260)+2.72%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비철금속은 철 이외의 금속으로 아연, 알루미늄, 구리(동), 납(연) 등이 있음.
구리는 전도성이 은 다음으로 높기 때문에 에어컨, 자동차, 전력망, 건설, 전자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산업용 금속. 경기 변동에 따른 수요가 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전 세계 경기 동향에 민감한 원자재 가운데 하나.
시장에서는 구리 가격이 오르면 글로벌 경제에 곧 상승기가 온다는 시그널로 해석. 구리 값이 내리면 그 반대로 판단.
구리 관련주는 구리 가격이 상승하면 바로 판매가에 반영시킬 수 있는 구조. 따라서 제품 가격이 상승해 실적이 좋아져 수혜를 받음.
영국 런던금속거래소(LME) 구리 가격은 2020년 초 코로나19 충격으로 글로벌 경기 위축 우려가 불거지면서 하락세를 보였음.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1월 하순부터 급격히 하락한 구리는 난 3월 23일 톤당 4625달러를 기록하며 연저점을 찍기도 함. 그러나 4월 들어 구리 가격은 반등.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되고 주요국이 경기 부양과 유동성 공급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경기 회복 기대가 형성된 점이 이유.
특히 11월 중순부터 톤당 7000달러를 돌파. 2020년 11월 30일(현지시간)에는 런던금속거래소(LME) 구리 가격이 전일대비 212.5달러(2.74%) 오른 톤당 7674달러로 7년래 사상최고가 기록. 전 세계 구리 수요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의 11월 제조업 경기지표(PIM)가 52.1를 기록하며 2017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점과 코로나19 백신 사용이 임박한 점이 가격 지속 상승의 이유.
각 주요국들이 그린 경제를 채택하고 있어 향후 구리 수요도 밝은 상황. 전기차의 경우 일반 내연기관차와 비교했을 때 차 한 대당 약 20배 정도의 구리가 더 필요하기 때문. 또한 풍력발전을 위한 터빈에도 구리가 사용되고, 재생가능에너지원을 통해 발생한 전기를 전력망에 연결하는데에도 사용됨.
중국 정부는 2060년까지 탄소중립 상태로 만들기 위해 5개년 계획에 따라 재생가능에너지에 집중하겠다고 선언(2020.09.23). 미국도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으로 2조달러(한화 2234조원) 규모의 에너지·인프라 투자를 집행할 계획. 이 외 EU(유럽연합), 일본, 한국 등 국가들도 탄소제로를 위해 재생에너지에 투자할 계획.
(마지막 업데이트 2020. 12. 04)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 등락률 종목설명
풍산(103140) +7.57% 구리를 가공해 만드는 신동 제조사. 총알 제조 등 방산 사업도 영위.
LS ELECTRIC +2.79% LS그룹 계열의 전력기기 및 시스템 제조사. 자회사 LS메탈(지분율 100%)을 통해 구리를 원료로 하는 동관 생산(2020. 06 기준)
LS(006260) +2.72% LS그룹 지주회사로 국내 구리 시장을 독점 중인 LS니꼬동제련(지분율 50.1%)을 자회사로 두고 있음. LS의 대부분 계열사들은 구리를 주요 제품의 핵심 원료로 삼고 있어 구리 가격이 상승하면 제품 판매단가도 상승(2020.06 기준).
풍산홀딩스(005810) +2.36% 풍산그룹 지주회사로 비철금속 소재업체인 풍산의 지분 37% 보유.
이구산업(025820) +1.72% 황동, 인청동 등 구리제품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비철금속 전문 제조사. 국내 시장 과점 중.
서원(021050) +1.61% 구리와 다른 금속 및 비금속을 융합시켜서 만든 동합금 제조사.
대창(012800) +1.53% 구리와 아연을 합금해 만든 황동봉 제조사. 시장점유율 42.5%.
LS전선아시아(229640) -0.49% LS그룹 계열의 구리를 원료로 한 전력케이블·통신선 제조사. 베트남 전선시장 1위(점유율 약 30%).

비철금속 - 구리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11.46%


1개월 등락률 +9.81%


1주 등락률 +5.31%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