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파 60%, 삼겹살 24% 급등.. 서울이 뉴욕·런던보다 비싸다

장상진 기자 2021. 1. 7. 03: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에 돼지열병·냉해까지.. 서울 식료품값, 세계 6번째

지난 5일 오후 5시 10분쯤 이마트 서울 성수점 딸기 판매대 앞에서 혼자 온 60대 여자 손님이 5분을 서성였다. 매대 앞 입간판엔 ‘딸기 750g 1팩: 1만1900원’이라고 적혀 있었다. 하지만 손님은 유통 기한 임박으로 가격표가 ’9900원'으로 고쳐 적힌 딸기 상자를 집어 들었다. 그는 “물가가 많이 올라서 가격표 앞에서 고민을 많이 하게 된다”고 했다. 사실이었다. 똑같은 딸기 1상자가 작년 이맘땐 7980원이었다. 이날 기자는 쇼핑객들에게 “올해 물가가 0.5% 올랐다”고 말해봤다. 여러 손님 입에서 “말도 안 된다” “무슨 소리냐” 같은 반응이 나왔다.

닭고기가 많이 없네… - 6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닭고기를 집어들고 있다. 지난해 11월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살처분된 닭과 오리가 늘면서 산지 가격이 오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닭고기(1㎏) 소비자 가격은 지난해 대비 8.3%, 계란(30개) 가격은 11.4% 올랐다. /뉴시스

실제로 본지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이 즐겨 찾는 음식 재료 상당수가 정부 통계보다 가격이 더 올랐다. 코로나 사태로 ‘집밥 수요’는 늘었는데, 가축 전염병, 냉해, 수급 조절 실패 등이 줄줄이 겹쳐 주요 신선 식품 공급이 줄어든 결과다. 이마트 신선식품 총괄책임자인 김동민 담당은 “많은 국민이 한꺼번에 외식 대신 집밥을 선택하면서 ‘집에서 요리해 먹기 쉬운 품목’에 수요가 몰리고 있다”고 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인이 많이 먹는 육류는 돼지고기-닭고기-소고기 순이다. 1인당 연(年)평균 돼지고기 27㎏, 닭고기 14㎏, 소고기 13kg을 먹는다. 최근 1년 새 세 종류 고기 값이 다 올랐다. 삼겹살은 24.6% 올랐고, 닭고기는 8.3% 올랐다. 소고기값(한우)도 부위별로 3.5~9.4% 올랐다.

돼지고기는 작년 전 세계를 휩쓴 아프리카돼지열병 직격탄을 맞았다. 외국산 삼겹살 40%를 공급하는 독일에서 작년 9월 돼지열병이 확인되면서 수입이 중단됐다. 그런데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소비가 늘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작년 2월 코로나 사태 발생 이후 5개월간 가구당 평균 돼지고기 구매량이 16% 늘었다. 그 결과 품귀 현상이 빚어지며 가격이 올랐다. 이마트 돈육팀 관계자는 “도매 시장에서 삼겹살과 앞다리 살은 국산이든 외국산이든 시쳇말로 씨가 말랐다”고 말했다. 문정훈 서울대 교수(농경제사회학)는 “최근 국내 돼지열병 재확산세도 심상치 않아 앞으로 돼지고기 가격은 더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닭고기와 계란도 마찬가지다. 작년 국내에서만 조류인플루엔자로 닭 400만마리가 살처분됐다. 도매가격은 최근 한 달 사이에만 닭고기가 40%, 계란은 15% 올랐다. 롯데마트 축산팀 관계자는 “도매가격 인상이 당분간 계속해서 소비자 가격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했다. 수요 또한 늘었다. 야간 식당·주점 영업이 중단될 때마다 치킨 배달 수요는 2~4배씩 뛴다고 업계에서는 말한다.

주식(主食)인 쌀의 가격도 16%나 올랐다. 지난해 장마와 태풍 등으로 50년 만에 전국 쌀 생산량이 최저치를 기록한 결과다. 사태를 심각하게 여긴 정부는 1~2월 중 18만t 규모의 쌀을 시장에 공급하겠다고 5일 발표했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먹는 채소인 배추는 37%가 내렸다. 롯데마트 채소 구매팀 관계자는 “2019년 가을에 비가 많이 내려 가격이 올랐던 기저효과일 뿐, 지금 가격이 예년에 비해 싼 것은 아니다”고 했다. 반면 최다 소비 2위 채소인 양파의 가격은 수급 조절 실패로 61.3% 올랐다. 작년 생산량이 117만t으로 재작년 159만t 대비 27% 감소, 3년 만에 최소치였기 때문이다. 그전 2년 연속 양파 가격이 폭락하면서 농민들이 재배 면적을 줄인 결과다.

이런 상황이 겹치며 글로벌 국가·도시 비교 통계 사이트 ‘넘베오(Numbeo)’가 집계한 서울의 작년도 식료품 물가지수(Grocery Index)는 세계 376개 주요 도시 가운데 재작년 세계 10위에서 6위로 뛰어올랐다. 뉴욕·워싱턴DC(미국)와 오슬로(노르웨이)를 이번에 제쳤다. 1~5위는 모두 살인적인 물가로 유명한 스위스의 도시들이었다. 서울의 식료품 물가가 뉴욕·런던 등 글로벌 대도시는 물론이고 1인당 GDP 5만~8만달러 수준의 북유럽 국가의 도시보다도 비싸단 얘기다. 서울의 사과 1㎏ 가격은 세계 3위, 바나나 1㎏ 가격은 세계 2위다. 순위 상승세도 가파르다. 서울의 식료품 물가 순위는 2015년 64위였다가 2016년 28위, 이번에 6위가 됐다. 5년 만에 58계단이나 상승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