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섭게 오른 증시 '부담'..회사채 투자로 눈돌려볼까

김재은 2021. 1. 7. 03: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증권, 지난해 온라인 채권 직접투자 6배 '쑥'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채권 일정비율 담아야
1분기 금리상승 가능성..하이일드 투자 더 적합

[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무서운 기세로 오르는 코스피지수와 맞물려 증시예탁금도 70조원 돌파를 코 앞에 두고 있다. 코스피지수가 6일 한때 3000선대를 돌파하면서 증시로 쏠리는 이목은 더 강해졌지만, 한켠에서는 단기간 너무 오른 만큼 지금 주식투자에 나서기 부담스럽다는 의견도 있다.

이에 따라 주식보다는 안정적인 회사채 투자도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코로나19이후 상승추세였던 S&P, 무디스 등의 부도율이 연말 이후 하락세로 반전하면서 하이일드 채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식과 달리 채권은 기업이 부도날 경우 원리금 상환에 있어 선순위권을 지닌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 삼성증권, 지난해 온라인 채권 투자 6배↑

6일 삼성증권(016360)에 따르면 지난해 MTS를 통한 온라인 채권판매 규모는 전년대비 6배 이상 증가한 1400억원을 넘어섰다. 이는 MTS를 통한 개인투자자들의 직접거래 규모로 삼성증권의 전체 리테일 원화채권투자금액(전단채 포함)은 10조원을 웃돈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지난해 신규계좌 급증과 함께 주식이 아닌 채권거래에 관심을 보인 투자자들이 상당수 있다”며 “현재 MTS에서 직접 거래할 수 있고, 만기 이전이더라도 매도가 가능(중도매도시 금리변동에 따른 손실발생 가능)하다”고 말했다.

실제 증시 주변자금인 예탁금은 5일 기준 69조4409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국내에서도 제로금리가 현실화하면서 보다 높은 수익률을 좇는 머니무브가 나타나고 있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른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자산가는 포트폴리오 차원에서라도 일정부분 채권 비중을 가져 가고, 개인들은 예금에 넣느니 은행채를 산다는 트렌드가 생겨나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6일 기준 만기가 1년 8개월 남은 한화(000880)건설102-2채권(A-)은 연 2.737%의 세전 수익률을 보장하고, 1년 4개월 남은 한화건설101-2채권도 연 2.567% 수준이다. 만기가 오는 4월 9일(잔존만기 3개월)인 현대중공업지주(267250)4-1채권(A-)은 연환산 1.481%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통상 채권은 기관간 거래로 100억원 단위의 장외거래가 이뤄지지만, 개인투자자는 증권사들이 제시한 만기와 금리에 맞춰 최소 1000원부터 채권을 매수할 수 있다. 매수 한도는 판매가능금액 내에서 제한없이 살 수 있다.

1분기엔 하이일드 투자…우량 국고채는 2분기 이후로

다만 바이든 취임을 앞두고 경기회복 기대감 등으로 올 1분기엔 채권금리가 상승(채권가격 하락)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 때문에 우량채나 국고채보다는 하이일드 채권에 관심을 둘 때라는 조언이다. 실제 조지아주 선거에서 블루웨이브가 확실시되면서 미국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1%를 넘어섰다. 지난해 3월 이후 처음이다.

신환종 NH투자증권 FICC센터장은 “상승하던 회사채 부도율이 꺾이기 시작한 만큼 금리가 높은 하이일드 채권 투자가 유망하다”며 “금리가 높은데도 망하지 않을 투자대상을 찾는 게 중요하하다”고 말했다.

신 센터장은 멕시코 국영 석유회사 페멕스(PEMEX)채권을 대안으로 꼽았다. 만약 1분기 채권금리가 일정부분 상승세를 보이더라도 하이일드의 경우 절대금리가 높아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현재 NH투자증권(005940)이 판매 중인 페멕스 채권은 연 10%가량 금리가 보장된다. 만기는 2024년 9월로 3년 8개월가량 남았다. 신 센터장은 “코로나19 이후 공기업 지원 가능성이 높은데다 현재 원화 강세(달러 약세)인 점도 신흥국 채권투자에 플러스 요인”이라며 “현재 환율 수준이 유지되거나 혹시 1~2% 상승(원화 약세)하더라도 페멕스 채권 수익률은 연 7~8% 수준으로 상당한 메리트가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종목 채권 투자가 부담스럽다면 하이일드 채권펀드나 하이일드ETF도 관심을 둘 만하다. 실제 지난 4일 기준 글로벌 하이일드채권펀드의 최근 3개월 수익률은 6.39%로 해외채권형펀드 수익률(2.58%)을 2.5배가량 웃돌고 있다.

김재은 (alad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