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KCC, 실리콘 자회사 모멘티브로 넘겼지만..모멘티브 투자자들은 '심기불편'

2021. 1. 6. 17: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CC가 실리콘 자회사들을 미국 자회사인 모멘티브퍼포먼스머터리얼스(이하 모멘티브)에 넘기는 지배구조 개편을 단행했다.

KCC는 지난달 1일 물적분할을 통해 설립한 KCC실리콘을 비롯한 실리콘 사업 부문 자회사들을 모멘티브에 매각한다고 6일 공시했다.

MOM홀딩스는 이 대금을 모멘티브코리아에 대여·출자해 KCC가 보유한 KCC실리콘 지분 100%를 인수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01월06일(16:2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KCC가 실리콘 자회사들을 미국 자회사인 모멘티브퍼포먼스머터리얼스(이하 모멘티브)에 넘기는 지배구조 개편을 단행했다. 지배구조 일원화를 통한 효율화를 명분으로 제시했지만, 인수에 파트너로 참여한 SJL파트너스 및 국민연금·교직원공제회 등 투자자들과의 소통은 여전히 숙제로 남았다.

KCC는 지난달 1일 물적분할을 통해 설립한 KCC실리콘을 비롯한 실리콘 사업 부문 자회사들을 모멘티브에 매각한다고 6일 공시했다.

우선 KCC는 모멘티브의 모회사인 특수목적회사(SPC) MOM홀딩스 유상증자에 참여해 약 4000억원을 출자한다. KCC의 MOM홀딩스 지분율은 기존 50%+1주에서 60%로 증가한다. 

MOM홀딩스는 이 대금을 모멘티브코리아에 대여·출자해 KCC가 보유한 KCC실리콘 지분 100%를 인수한다. KCC실리콘의 기업가치는 3460억원으로 책정됐다. MOM홀딩스가 회사를 직접 인수할 경우, 해외법인인 모멘티브와 국내법인간 합병이 까다롭기 때문에 우회하는 구조를 짰다.

나머지 양도 대상인 KCC바실돈(KCC 영국 실리콘 자회사), KCG(KCC 중국 광저우 법인) 내 실리콘 사업부는 각각 MPM UK, MPM SH 등 현지법인이 인수한다. 동일한 기업집단 내에서 이루어지는 매각이기 때문에 연결재무제표로 집계되는 매출액 등에는 영향이 없다.

KCC는 글로벌 실리콘 기업인 모멘티브의 지붕 아래 실리콘 사업을 통합함으로써 계열회사들 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모멘티브 인수 파트너였던 PEF운용사 SJL파트너스와 투자자(LP)로 참여한 국민연금·교직원공제회·과학기술인공제회·수출입은행 등 10여곳 중 일부는 이번 구조개편에 불편한 심기를 보여왔다. KCC의 실리콘 자회사들에 대한 가치평가가 공정했는지 여부가 배경으로 거론된다. 또 현재까지 50%+1주와 50%-1주로 KCC와 투자자들이 팽팽한 균형을 이루던 지분 구도가 KCC측으로 기운 점에 대한 불만도 전해진다. 특히 KCC자회사들의 기업가치 대비 모멘티브의 실적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시기에 보다 적은 대가로 지분율을 늘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차준호 기자 chacha@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