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조 쏟아부은 1차 디지털뉴딜, 성과는?.."데이터댐 기초 닦았다"

송화연 기자 2021. 1. 6. 13: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네트워크, AI 기반으로 경제·사회 전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디지털 경제로 전환 급박..국가 역량 결집해 디지털뉴딜 성공시킬 것"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서울=뉴스1) 송화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전례없는 경제위기가 세계를 강타한 가운데, 정부가 위기 극복을 위해 내놓은 특단의 대책인 '한국판 뉴딜' 사업의 주요 성과를 공개했다.

정부는 지난해 한국판 뉴딜의 주요 사업으로 약 2조4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우리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 대전환을 도모하는 '디지털 뉴딜'을 추진했다. 그 결과 '데이터, 네트워크(5G), 인공지능(AI)'(D.N.A)를 중심으로 한 '데이터댐' 사업의 기초를 닦았다.

6일 정부는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제8차)를 통해 한국판 뉴딜의 핵심축을 담당하는 '디지털 뉴딜'의 2021년 실행계획을 의결하고 지난해 주요 성과를 공개했다. 디지털 뉴딜은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총 58조2000억원(국비 44조8000억원)을 투자해 우리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화하고 약 9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프로젝트다.

정부는 과거 토목사업 위주의 뉴딜이 아닌 '디지털화' 대응이 핵심인 21세기형 뉴딜을 추진해 한국 경제 구도를 고도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에 데이터, 5G, AI 생태계를 강화하고 비대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펼쳤다.

이날 정부가 공개한 지난해 주요 디지털뉴딜 성과는 Δ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 촉진 Δ교육·의료·근무 등 비대면 서비스의 도입과 확산을 위한 기반 마련 Δ교통 인프라와 도시·산단·물류의 디지털화 추진이다.

◇D.N.A 기반으로 경제·사회 전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디지털뉴딜의 핵심은 데이터댐입니다. AI를 학습시킬 데이터를 모으고, 가공해 구축하면 질 좋은 일자리를 당장 확보할 수 있고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 4차산업혁명의 핵심인 AI 산업의 토대를 닦을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정부는 디지털 뉴딜 구상 핵심 사업 중 하나로 '데이터댐' 구성사업을 꼽았다. 데이터댐은 한국판 뉴딜의 10대 주요 사업 중 첫 번째 사업으로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총 18조1000억원을 투입해 거대한 '데이터 집합소'를 분야별로 구축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해 대규모 데이터 축적·개방과 전방위적 AI 활용을 뒷받침할 데이터댐을 구축해 AI 학습용 데이터(10개 분야 170종) 및 빅데이터 플랫폼(16개) 등을 확충하고, 공공데이터 4만9000개를 개방했다.

나아가 5G와 AI 융합을 위해 중소·벤처기업 등을 대상으로 AI 솔루션과 서비스 구매 바우처 225건을 지원하고, 제조현장 스마트화를 위한 2만여개 스마트공장의 구축·고도화를 지원하기도 했다.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문화 확산으로 사이버 위협이 증가하자 이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만6000건의 전국민 PC원격 보안점검을 실시하고, 300개 ICT 중소기업의 정보보호 컨설팅과 솔루션 도입을 지원했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지능형 정부로의 도약을 위해 5G 국가망을 시범 구축하고, 공공(26개 서비스)·산업(38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상용화 지원과 함께 모바일 공무원증 도입을 위한 인프라 및 발급시스템을 구축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대한민국 인공지능'을 만나다 행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0.11.25/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서비스 확산위한 기반 마련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교육·의료·근무 등 전 영역의 비대면화(化)가 가속화됐다.

정부는 대학 온라인 강의의 질 개선을 위해 국립대학 39개교의 노후서버와 장비 교체에 착수했고, 스마트 직업훈련을 위해 1083개 과정 선정 후 설계·운영 컨설팅 및 교·강사 보수교육을 제공했다. 그 결과, 직업훈련 플랫폼을 활용한 e러닝 학습자는 지난 2019년 1월 8121명에서 2020년 12월 누적 33만2724만명으로 급증하는 성과를 냈다.

아울러 정부는 AI 의료 소프트웨어(닥터앤서 1.0)를 통해 8개 질환에 대한 진단을 실증하고, 3개 분야 스마트병원 모델 도입 및 AI·사물인터넷(IoT) 기반 건강관리 시범사업을 시행하는 등 디지털 의료를 본격화했다.

중소기업과 중소상공인(SME)을 위한 지원도 이어졌다. 정부는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비대면 분야 1조원 규모의 우대보증을 제공하고, 디지털전환을 위한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를 약 8만개사에 지원했다. 정부는 현재 중소기업 공동 활용 화상회의실 1562개소를 구축 중에 있다.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 4만개사의 온라인 진출을 지원하고, 스마트 상점 확산을 위해 시범상가 55곳을 선정하여 약 4000여개 상점에 스마트기술을 보급했다.

◇교통·도시·물류 등 디지털화 추진해 '스마트 도시' 가속화

스마트 도시 구축을 위한 노력도 이어졌다. 정부는 지난해 국민 교통안전을 위해 일반국도에 지능형교통시스템(ITS) 4361㎞를 구축하고, 일반·고속 철도 전구간의 선로 원격감시시스템 설치에 착수했다. 김포공항에는 지난해 12월 비대면 생체인식 시스템이 시범 구축됐다.

이어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을 108개 도시에 보급해 전국민 60%(3200만명)에 스마트도시 안전망의 혜택을 부여했고, 실시간 안전·교통·방범관리 등을 위한 스마트 산단 통합관제센터(구미·남동)와 중소기업 공동물류센터 구축을 시작했다.

정부는 2020년 주요 성과를 공개하며,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급속히 일어나는 현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코로나19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디지털 선도국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범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 성과 창출을 위해 민간과 지역의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고, 정부의 투자가 마중물이 되어 민간·지역의 참여와 투자를 촉진하고 신(新)산업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hwaye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