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AI플랫폼'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1000억 '통큰 투자'

박광범 기자 2021. 1. 6. 11: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DB산업은행(이하 산은)이 카카오의 차세대 핵심 계열사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1000억원을 투자했다고 6일 밝혔다.

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기업당 평균 벤처투자금액은 미국이 154억원인데 반해 한국은 27억원으로 격차가 크다.

이번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대한 투자를 포함해 지금까지 14개 기업에 각각 100억원 이상의 대형 투자를 실행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이 지난해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넥스트라이즈2020' 글로벌 스타트업 페어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 사진=김휘선 기자 hwijpg@

KDB산업은행(이하 산은)이 카카오의 차세대 핵심 계열사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1000억원을 투자했다고 6일 밝혔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가 AI(인공지능) 기반의 B2B(기업간거래) 플랫폼 사업 진출을 위해 2019년 12월 설립한 자회사다. 메신저 기반의 업무 협업 도구인 '카카오워크(Kakao Work)', 기업용 클라우드 '카카오 i 클라우드(Kakao i Cloud)' 등을 통해 B2B IT 시장에 진출 중이다.

이번 투자는 그간 해외자본에 의존해 온 대형 스케일업(Scale Up) 투자를 국내 기관이 단독으로 실행한 이례적 사례로 평가된다. 국내 기관에 의한 대형 스케일업 투자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기업당 평균 벤처투자금액은 미국이 154억원인데 반해 한국은 27억원으로 격차가 크다.

이에 이동걸 산은 회장은 평소 기회가 있을 때마다 국내 벤처투자 시장이 단순히 스타트업에 돈을 지원하는 수준을 넘어 해당 업체에 대한 후속 투자 등 스케일업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신산업과 신기술 육성을 위해 초기 단계를 벗어나 고성장을 추구하는 기업에 충분한 자금을 투입해 회사의 성장을 돕고, 투자자 입장에서도 향후 투자 결과물을 향유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은은 우량 스타트업에 대한 대형 투·융자 직접 지원을 위해 지난해 초 스케일업금융실을 신설했다. 이번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대한 투자를 포함해 지금까지 14개 기업에 각각 100억원 이상의 대형 투자를 실행했다.

이 회장은 "성장가능성이 높은 우량 스타트업에 대한 과감한 금융지원이 요구되는 시대적 상황에 맞춰 혁신기업에 대한 대규모 스케일업 투·융자와 차별화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올해부터 5년간 1조원 규모의 '한국판 뉴딜 벤처·스케일업 투융자 프로그램' 신설 등을 통해 혁신성장 주요 분야 핵심 기업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나경원 딸, 부산 남자친구 고백 "시집가고 싶어"죽은 이지아, 점찍고 컴백?…'펜트' 심수련 쌍둥이설미국에 집 가진 존리 "집 사지 말고 월세 살아라"'아내의 맛' 등장 나경원 가족…아들은 어디에?돈이 많아 문제…쇠사슬 자해 뒤 극단선택 재벌2세
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