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셋값, 새 임대차법 5개월새 직전 5년치 만큼 올라

김희진 기자 2021. 1. 6. 10: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강남의 아파트단지. 김기남 기자 kknphoto@kyunghyang.com


지난해 7월 말 새 임대차법 도입 이후 5개월 동안 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이 1억원 가까이 뛰어 직전 5년치 만큼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6일 KB국민은행 부동산 리브온 월간 주택가격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은 전달 대비 5.2% 오른 5억6702만원으로 집계됐다. 새 임대차법 시행 직전인 지난해 7월 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은 4억6931만원이었다. 5개월 만에 9771만원 올랐다.

중위가격은 주택 가격을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있는 가격으로, ‘중간가격’ 또는 ‘중앙가격’으로도 불린다.

7월 이후 5개월 동안 오른 전셋값은 새 임대차법 시행 직전 5년치 상승분과 맞먹는 수치다. 2015년 11월 3억7210만원이던 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은 작년 7월(4억6931만원)까지 4년 8개월 동안 9721만원 올랐다.

중위 전셋값은 새 임대차법 도입과 함께 빠르게 올랐다. 5000만원 단위로 전셋값 상승 추세를 살펴보면 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은 2014년 9월 3억47만원으로 처음 3억원을 넘겼고, 3억5000만원에 이르기까지 11개월이 걸렸다. 이후 상승 속도가 더뎌지며 2016년 10월(4억229만원) 4억원을 넘기기까지 1년 2개월, 지난해 3월(4억5061만원) 4억5000만원을 넘기기까지 추가로 3년 5개월이 소요됐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5억804만원으로 집계되며, 7개월 만에 5억원을 넘어섰다.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계약갱신청구권을 이용해 기존 주택에 2년 더 눌러앉는 세입자가 늘어나 전세 물건이 줄고, 집주인들이 4년치 보증금을 한 번에 올려 받으려 하면서 전셋값이 급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최근 5개월 사이 1㎡당 평균 90만5000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1평(3.3㎡)당 평균으로 환산하면 298만5000원 올랐다. 강남권과 강북권, 고가·중저가 등 지역과 가격대 구분 없이 전체적으로 크게 뛴 것으로 나타났다.

김희진 기자 hji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