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새해 덕담/김균미 대기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상황이 해가 바뀌어도 나아지지 않으면서 새해라는 기분이 들지 않는다.
그래도 새해는 새해이니 친구들이나 지인들과 덕담을 주고받는다.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와 모바일 연하장에 적힌 새해 덕담은 두 가지로 모아진다.
"건강하고 새해에는 마스크 벗고 만날 수 있길 바란다"와 "코로나 조심하고 마음 편하게 만날 수 있었으면 좋겠다"가 그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코로나19 상황이 해가 바뀌어도 나아지지 않으면서 새해라는 기분이 들지 않는다. 일상생활에서 딱히 달라진 것이 없어 더욱 그렇게 느껴진다.
그래도 새해는 새해이니 친구들이나 지인들과 덕담을 주고받는다. 나이가 들수록 건강을 기원하는 내용이 많았지만 올해는 유독 그렇다.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와 모바일 연하장에 적힌 새해 덕담은 두 가지로 모아진다. “건강하고 새해에는 마스크 벗고 만날 수 있길 바란다”와 “코로나 조심하고 마음 편하게 만날 수 있었으면 좋겠다”가 그것이다. 코로나19 이전의 평범한 일상으로의 복귀, 일상의 회복이다.
당분간은 어려워도 올해 안에 그런 날이 오길 소망하며 어제와는 다른 오늘을 매일매일 살아낸다. 아니, 살아내려 애쓴다. 코로나와 함께 산 2020년, 잃은 것이 많지만 얻은 것도 있다. 당연하게 여겨 왔던 것들에 대한 고마움과 지금, 여기의 소중함이다. 물먹은 솜처럼 축 처진 몸과 마음을 일으킬 수 있는 건 재발견한 지금 여기의 소중함을 지키고 나누려는 긍정의 기운에서 나오지 않을까. 많이 웃자. 좋은 기억 때문에도 좋고, 성취감 때문에도 좋고, 정말 우스워서도 좋고. 그냥 웃어도 좋고. 설날 덕담에 ‘많이 웃읍시다’를 추가해야겠다.
kmki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모든 음식 종이 씹는 듯”…코로나 앓고 냄새 잃은 사람들
- 킹크랩 사는 조두순 목격담 “맞냐고 물었더니…”
- 차에 매달린 채 죽어간 개… 몰랐다며 사라진 주인 [김유민의 노견일기]
- [단독] 황운하 ‘김영란법’ 위반 의혹…“3인 밥값, 경제인이 지불”
- “내가 했던 뽕” 황하나 반성없는 마약·절도…남양유업 불똥(종합)
- 의사 남편 확진 1시간 뒤 백화점 간 부인…직원들까지 감염
- 정인이 양평 장지에 배우 이영애 찾아 눈물로 애도
- [현장] “검찰개혁해야” 윤석열 응원 화환에 불 지른 70대 노인
- 박봄, 11kg 감량 후 달라진 모습 “힘들었지만 너무 좋아” [EN스타]
- 고객용 마카롱을 발 위에? 선 넘은 갤러리아백화점 장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