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제도 무용지물..잠실·대치 거래량 '봇물'

하지나 2021. 1. 5. 17: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집값이 오르면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잠실, 삼성·대치·청담 지역 일대 부동산 시장도 되살아나고 있다.

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강남구 삼성·청담·대치동과 송파구 잠실동의 11월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05건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지난 6월 잠실 마이스(MICE), 영동대로 복합개발 등 개발 호재가 겹친 이들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고, 규제 직전 막차 수요로 6월 거래량은 561건을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청담·대치·잠실 11월 아파트 거래량 105건..전월보다 3배 증가
6월 규제지역 묶인 후 최고치..12월 거래량도 93건
잠실동 리센츠 10월 2건→12월 8건..전용 85㎡ 23.2억 '최고가'
현금유동성 있는 무주택 실수요자, '똘똘한 한채' 집중 현상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서울 집값이 오르면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잠실, 삼성·대치·청담 지역 일대 부동산 시장도 되살아나고 있다. 거래량이 늘어나고 신고가마저 속출하고 있다.

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강남구 삼성·청담·대치동과 송파구 잠실동의 11월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05건으로 집계됐다. 전월대비 3배 넘게 늘어난 수치로 6월23일 토지거래허가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가장 많은 거래량이다.

실거래가 신고기한이 30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12월 거래량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현재까지 집계된 12월 아파트 거래량은 93건이다.

정부는 지난 6월 잠실 마이스(MICE), 영동대로 복합개발 등 개발 호재가 겹친 이들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고, 규제 직전 막차 수요로 6월 거래량은 561건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후 거래량은 대폭 줄어들었다.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7월 66건 △8월 40건 △9월 40건 △10월 34건으로 뚝 떨어졌다.

최근 신고가를 나타내는 아파트 단지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전용 85㎡가 지난달 3일 23억2000만원(18층)에 최고가를 기록했다. 전용 59㎡도 지난달 12일 18억8000만원(8층) 거래되며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전용 85㎡의 경우 9월과 10월 거래건이 각각 2건에 그쳤다. 11월에 6건으로 늘어났고 12월에는 8건이나 거래됐다.

인근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최근 부동산 시장이 조금씩 살아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면서 “잠실동의 경우 규제가 심해서 주변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오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강남구 대치동 대치삼성 아파트 전용 97㎡는 지난달 10일 25억5000만원(12층)에 거래되면서 전고점 대비 9000만원 올랐다. 전용 84㎡도 1일 22억5000만원(23층)에 거래됐다.

당초 정부는 투기성 자금 유입을 차단하면 거래량이 줄어들고 가격 동결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를 뒤엎는 결과다. 토지거래허가 지역의 경우 매매가 까다롭다. 직접 거주 용도로만 살 수 있기 때문에 갭투자가 어렵고, 대부분 15억원을 초과하면서 주택담보대출도 불가능하다. 최근 이뤄진 거래는 대부분 현금 부자들이라는 결론이다.

김규정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은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의 경우 다주택자, 유주택자들의 접근은 차단됐기 때문에 현금 유동성이 있는 무주택자 실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고 봐야 한다”면서 “풍부한 유동성 속에서도 부동산 외에 다른 투자처를 찾지 못했고 결국 똘똘한 한채로 몰리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나 (hjina@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