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전기·수소차 충전 시설 대폭 확충해야
정부는 ’2050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그린 뉴딜’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전기·수소차 보급과 충전 인프라 구축, 내연기관차 퇴출, 자율주행차 확산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그린 모빌리티 사업은 국민이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그린 뉴딜의 상징이자 선도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정작 전기·수소차 충전 인프라는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친환경차 보급 확산을 위해서는 충전 시설 확충이 가장 시급하다. 이런 시설은 교통량과 이동 인구가 많은 지역에 설치해야 효과적인데 도심 외곽에 편중되어 있다. 최근 전기차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지만 전기차 공용 급속 충전기는 정작 수요가 많은 지역에서는 잘 찾아볼 수 없다. 수소 충전소는 2020년 정부 목표가 167기였으나 현재 43기만 가동하고 있다. 수소차 운전자 수요가 많은 도심의 입지 규제가 풀리지 않고 있고, 주민 반대 민원 등에 발목이 잡혀 설치가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충전이 불편한 도시 외곽 공공 부지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어 수요·공급 불일치가 심각하다.
전기차는 공공성에 초점을 두었던 도입기를 지나 확산기로 접어든 만큼 수요가 많은 지점에 전기차 공용 급속 충전기를 획기적으로 늘려야 한다. 아파트 단지 등 주거지와 직장, 생활 거점 시설을 비롯, 차량이 많이 다니는 도심 간선도로 주유소나 LPG 충전소에도 설치해야 한다. 수소 충전소를 늘리려면 무엇보다 수소 안전성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는 홍보를 강화해 주민의 수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전기·수소차 충전 시설을 먼저 늘리지 않으면 친환경 자동차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의대 증원 제로됐지만, 의협·의대생 “의료 개악 중단돼야”
- “문과×들이 다 해먹어” 발언 이국종, 국방부에 사과
- 저작권 위반해 그림 그린 작가와 그림 내건 카페 업주 집행유예
- [르포] “러, 금지된 집속탄 써 온몸 수십개 파편”… 우크라 눈물의 부활절
- 美, 본토 B-1B 전략폭격기 일본에 전진 배치... 北·中에 압박
- 신인상 놓치고 비거리 늘려...김백준, KPGA 투어 개막전서 첫 우승
- Senior delivery workers in their 60s to 80s take to streets of Seoul
- 이재명, 영남서 90.81% 득표... 충청 이어 대세론 압도
- 유정복 시장, “인천의 성장·혁신…대한민국으로 확장하겠다”
- [오늘의 운세] 4월 21일 월요일(음력 3월 24일 庚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