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one blames you (KOR)

2021. 1. 4. 19: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Despite the scientific explanation, I am more inclined to what Irish writer Oscar Wilde famously said. In the Portrait of Dorian Gray, he wrote, "Good resolutions are useless attempts to interfere with scientific laws. Their origin is pure vanity. Their result is absolutely nil. They give us, now and then, some of those luxurious sterile emotions that have a certain charm for the weak They are simply cheques that men draw on a bank where they have no account."

새해계획 철이 돌아왔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t is the time for New Year's resolutions. Many people make a plan for the New Year with mental reminders or written notes. According to a joint survey by employment sites Job Korea and Albamon conducted on 2,696 adults, 79.8..

KANG GI-HEON The author is an industry 1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It is the time for New Year’s resolutions. Many people make a plan for the New Year with mental reminders or written notes. According to a joint survey by employment sites Job Korea and Albamon conducted on 2,696 adults, 79.8 percent responded that they would make New Year’s resolutions. Seven out of 10 said they are determined to follow through.

But the reality is quite different. A 2016 survey showed that 63 percent of adults admitted that their New Year’s resolutions faltered before March.

According to American psychologist John Norcross, more than half of Americans make New Year’s resolutions but less than 40 percent care about them six months later. More than half didn’t go to make it that far.

Then why do we repeatedly make New Year’s resolutions? Psychologists explain it as a “notational boundary,” a kind of psychological border and a starting point to find a “new me.” The essence of a New Year’s resolution is the process of creating a psychological boundary that “things will change from now on.” People can make such a notational boundary by setting weekly or monthly plans.

But carrying them out is different from planning them. Brain scientis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abit circuits.” When a certain action is repeated, a habit circuit is created in the brain and brain cells are connected. It means that any plan has a higher rate of success when it is repeated. Rather than making a grand plan, it is better to set a goal that can be consistently achieved.

Despite the scientific explanation, I am more inclined to what Irish writer Oscar Wilde famously said. In the Portrait of Dorian Gray, he wrote, “Good resolutions are useless attempts to interfere with scientific laws. Their origin is pure vanity. Their result is absolutely nil. They give us, now and then, some of those luxurious sterile emotions that have a certain charm for the weak … They are simply cheques that men draw on a bank where they have no account.”

His words are so to the point that they hurt. But there’s nothing wrong with making a resolution for the new year. It may be futile as Wilde had pointed out, but it doesn’t cost anything. Also, it comes with a sense of relief. And no one blames you for not keeping it.

새해계획 강기헌 산업1팀 기자

새해계획 철이 돌아왔다. 마음속에 새기든 수첩에 고이 적든 신년계획을 세운 이들이 많다.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성인남녀 26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79.8%가 ‘새해계획을 세우겠다’고 답했다. 새해계획을 꼭 지킬 것이라고 답한 이도 10명 중 7명이나 됐다.

하지만 현실은 좀 다르다. 2016년 조사에선 성인남녀 63%가 ‘새해계획은 3월 안에 흐지부지된다’고 고백했다. 미국 심리학자 존 노크로스에 따르면 절반이 넘는 미국인이 새해계획을 세우지만 반년이 지나서도 이를 신경 쓰는 이는 40%에 불과했다. 절반 이상이 작심반년을 극복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새해계획을 반복하는 이유는 뭘까. 심리학자는 표시 경계(notational boundary)로 이를 설명한다. 표시 경계는 일종의 심리적 경계선이자 새로운 나를 찾는 출발점이다. “이제부터 달라질 것”이란 심리적 경계선을 스스로 만드는 작업이 바로 새해계획의 본질이란 것이다. 짧게는 일주일 혹은 한 달 단위 계획을 세우는 것도 표시 경계로 설명할 수 있다.

계획과 실천은 다른 문제다. 새해마다 뇌 과학자는 습관 회로(habit circuits)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행동이 반복되면 뇌에 특정한 회로가 만들어지고 이를 통해 뇌세포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는 것이다. 어떤 계획이든 반복해야 성공할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 거창한 계획보다 꾸준히 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라는 건 이런 사실 때문이다.

딱 들어맞는 과학적인 설명에도 마음이 기우는 건 아일랜드 작가 오스카 와일드 쪽이다. 그는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에서 이렇게 적었다. “훌륭한 계획을 세우는 건 과학의 법칙을 거스르는 것처럼 부질없는 짓이다. 순수한 의도에서 시작하지만, 결과적으로 남는 건 하나도 없다. 예나 지금이나 훌륭한 계획이 우리에게 선사하는 건 나약함을 포장할 수 있는 쓸모없는 감정일 뿐이다. 계좌도 없는 은행에서 수표를 인출하는 것과 다를 게 없다.”

따끔함을 넘어 채찍질에 가까운 말이다. 그래도 새해계획 하나 정도는 세워서 나쁠 게 없다. 와일드의 지적처럼 아무리 부질없는 짓이라도 일단 돈이 들지 않는다. 여기에 마음의 안정감이란 묶음 상품도 딸려온다. 그리고 지키지 않아도 나무라는 사람도 없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