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국민 55%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반대"..32% '찬성'

김경호 2021. 1. 4. 13: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국민 절반 이상이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해 처리하는 방안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아사히신문이 4일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이 지난해 11~12월 전국 유권자 2126명(유효답변자 기준)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 방안에 대해 55%의 응답자가 '반대'한다고 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0%가 넘는 응답자가 수산물 풍문(소문) 피해 불안감 느껴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후쿠시마 제1원전을 방문해 폐로 작업이 진행 중인 현장을 둘러보고 있는 모습. 후쿠시마 교도=연합뉴스
 
일본 국민 절반 이상이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해 처리하는 방안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아사히신문이 4일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이 지난해 11~12월 전국 유권자 2126명(유효답변자 기준)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 방안에 대해 55%의 응답자가 ‘반대’한다고 답했다. ‘찬성’한다는 응답률은 32%에 그쳤다.

또 80%가 넘는 응답자가 오염수의 해양 방류에 따른 수산물의 풍문(소문) 피해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42%가 ‘매우’ 불안하다, 44%는 ‘어느 정도’ 불안하다고 답해 총 86%가 풍문 피해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에 대한 지금까지의 정부 대응에 대해 67%의 응답자는 ‘평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20%만 ‘평가한다’고 답했다.

한편 후쿠시마 제1원전 1~4호기에선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폭발 이래 녹아내린 핵연료를 식히는 순환냉각수에 빗물과 지하수가 흘러 섞이면서 오염수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도쿄전력은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라는 장치로 여과해 저장탱크에 넣어 원전 부지 내에 보관하고 있다. 이 같이 보관하고 있는 오염수는 지난해 9월 기준 123만t에 달한다. 오염수를 보관하는 탱크의 용량은 2022년 여름께 한계에 달한다.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이 내려질 경우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들이 강력히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는 지난해 9월 26일 취임 후 첫 지방 방문지로 후쿠시마현 일대를 찾아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이뤄지는 폐로작업과 방사능 오염수 보관 상황을 확인했다. 그는 방사능 오염수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한 빨리 정부의 처분방침을 결정하겠다”며 도쿄전력 측에 “대단히 중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착실히 진행해주길 당부한다. 정부도 지금까지처럼 전면에 나서 전력을 다해 돕겠다”고 언명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