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 2000.. 위기때 버팀목은 '실적장세'

김기철 2021. 1. 3. 18: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스피 40년 굴곡史
1989년 사상 첫 1000 돌파
수출기업·박현주펀드 힘입어
2007년엔 '2000 시대' 개막
반도체랠리에 2017년 신고점

◆ 2021 신년기획 Rebuild 한국증시 ① ◆

코스피는 2007년 7월 25일 2000을 넘어선 이후 13년째 3000선을 허락하지 않고 있다. 수차례 전고점을 경신하며 3000선 돌파를 시도했으나 번번이 미끄러졌다.

하지만 이번에는 분위기가 다르다고 보는 증시 전문가들이 많다. 2020년 12월 코스피는 2800 고지에 튼튼하게 베이스캠프를 차리며 3000 고지 등반을 눈앞에 두고 있다.

조용준 하나금융투자 법인영업 본부장은 "경기 사이클, 기업 실적, 수급 상황을 봤을 때 2021년은 코스피 3000 고지에 등정할 수 있는 조건을 두루 갖춘 해"라며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이 공포의 재확산을 가져올 정도로 통제되지 않는 상황이 오지 않는 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과거 역사를 돌아보면 코스피가 상징적인 숫자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심리적인 저항감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거대한 흐름이 있었다. 코스피는 1989년 3월 31일 처음 1000을 돌파했다. 1980년대 내내 지속된 저금리·저유가·저환율 등 '3저(低) 호황'의 힘으로 한국이 '중진 제조업 국가'로 발돋움한 덕분이었다. 1992년 외국인 투자자에게 주식시장을 전면 개방하면서 주가에 날개가 달리는 듯싶었지만 1997년 외환위기가 발생하자 외국인 투자가는 썰물처럼 빠져나가면서 1998년 6월 코스피는 280선까지 주저앉았다.

2007년이 되어서야 코스피는 1500선과 2000선을 연이어 돌파했다.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으로 상징되는 중국 경제성장에 따른 한국 기업들의 수출 확대, '박현주 펀드'로 대표되는 공모펀드 열기 덕분이었다. 하지만 다음해 미국발 세계 금융위기를 만나 다시 2000선이 무너졌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2000선에 막혀 '박스피'(박스권+코스피)라고 불리던 코스피는 2017년 2000선과 2500선을 동시에 돌파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종이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 투자 주체로는 외국인이 투자를 이끌어 외국인 보유 시가총액이 사상 처음으로 600조원을 넘어섰다. 2017년 랠리는 반도체 업황이 꺾이고 미·중 무역갈등이 본격화되면서 마침표를 찍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2021년 코스피 3000선 달성을 낙관하지만 얼마 동안 지속적으로 3000선을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신한금융투자가 2002년 이후 코스피가 전고점을 돌파했던 세 차례의 증시 랠리를 분석한 결과 세 번 모두 고점 돌파 이후 증시 상승세가 20주 이상 유지됐다. 그중 증시가 2000선을 돌파했던 2007년 전후로는 무려 115주간 상승세가 유지됐고 2017년 반도체 랠리 때는 38주간 지속됐다.

[김기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