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재 시달리는 북한, 중개상들에게 "무기 좀 팔아주오" [박수찬의 軍]

박수찬 2021. 1. 2. 09: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분쟁지역에서 무장세력이 사용하다 압수된 AK소총들이 쌓여있다. 게티이미지
이라크, 시리아 등 세계 분쟁지역에서 늘 등장하는 것이 북한 무기다. AK 소총과 RPG 로켓, 73식 기관총과 박격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무기가 쓰인다. 그만큼 인기가 높다는 뜻이다.

고객이 많으면 공급자는 유리한 위치에서 무기를 팔 수 있다. 그런데 북한은 무기 판매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북한의 무기 생산능력과는 별개로 북한에 대한 신뢰도, 대북 제재, 판매 경쟁 격화 등의 요인이 뒤섞인 결과다.

◆첨단 무기는 외면받는 북한의 현실

이라크 바그다드, 시리아 이들리브 등에서는 막대한 양의 무기가 밀거래되는 암시장이 있다.

이곳에서 이뤄지는 밀거래를 추적하는 SNS 계정과 싱크탱크 등에 따르면, 북한산 73식 기관총은 시리아 이들리브에서 개당 300달러(약 33만원)에 거래된다.

중국이 복제한 M16A1 소총 가격이 770달러(약 84만원)인 것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시리아에서는 북한판 AK인 68식 소총도 거래가 이뤄진다.

냉전 시절 남북 체제 경쟁 속에서 북한은 시리아, 이라크 등 제3세계 국가에 막대한 양의 무기를 싼값에 공급했다. 1980년대 후반 페루는 북한에서 소총 10만 정을 구입했는데, 시장 가격 대비 20% 이상을 할인받았다.
이라크군 병사들이 AK 소총으로 무장한 채 건물 내 돌입상황을 가정한 훈련을 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소련이 무너진 후 이들 국가 중 다수가 내전 등으로 혼란에 빠졌다. 북한이 공급한 무기들은 반군에게 넘어갔고, 이후 이슬람국가(IS)를 비롯한 극단주의 세력이나 테러조직이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무기가 암시장에 유입, 지금까지도 거래되고 있다. 구조가 단순하고 고장도 별로 없으며, 물량은 많으니 수요가 꾸준하다.

미 싱크탱크인 걸프문제연구소는 2015년 아랍에미리트(UAE) 소재 회사가 북한 조선광업개발공사(KOMID)로부터 로켓, 기관총, 소총 등 1억 달러어치의 무기를 사들여 예맨에 보냈다는 미 국무부 기밀문서를 공개했다.

당시 미 국무부는 주미 UAE 대사를 소환, 기밀문서를 전달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촉구했다.

문제는 북한산 소총이나 기관총, 로켓포는 인정을 받았지만, 이보다 더 복잡한 무기에 대한 신뢰는 미지수라는 점이다.

2012년 북한산 휴대용 지대공미사일을 아제르바이잔에 팔려다 영국 수사당국에 체포된 마이클 레인저의 사례에는 북한 무기 판매의 특성과 문제점이 잘 드러나 있다.

총기류 거래를 주로 하던 레인저는 2004년 싱가포르에 있던 ‘암흑세계’ 동료의 소개로 북한과 처음 접촉한다. 

협상 파트너는 KOMID 산하 혜성무역회사 소속 오학철. 처음에는 6.25 전쟁 당시 쓰인 구식 소총 거래 정도만 언급됐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오학철은 북한 내 무기에 대한 정보를 계속 제공하며 레인저를 부추겼다.
AK 소총은 중동 암시장에서 다양한 버전이 판매되고 있다. 게티이미지
레인저는 아제르바이잔에 북한산 휴대용 지대공미사일 70기 구매를 제안했다. 하지만 아제르바이잔-레인저-북한간 협상은 교착됐고, 레인저는 영국에서 체포돼 유죄 판결을 받았다.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소속 안드레아 버거가 레인저 사건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레인저와 오학철의 관계는 북한 무기에 대한 새로운 수요를 만들었다. 

오학철은 레인저에게 북한 무기 판매 면허를 부여하고 신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구매자를 찾도록 장려했다. 6.25전쟁에 쓰인 구식 소총부터 중거리 미사일까지 거래가 가능하다면서 레인저의 욕망을 자극했다.

이에 레인저는 적극적으로 뛰면서 북한 무기 구매 의사가 없던 아제르바이잔의 태도를 바꿨다. 
북한군 특수부대원들이 전방을 향해 AK소총으로 사격을 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2018년 8월 유엔 안보리 산하 전문가 패널이 작성한 보고서에는 북한의 소화기 불법거래를 중개하는 후세인 알 알리라는 이름이 등장한다.

그는 예멘과 리비아 무장단체에 재래식 무기와 탄도미사일 공급을 제안했고, 2016년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에서 북한과 예멘 후티 반군 간 군사장비 거래 협상을 중재했다. 

무기 거래 네트워크 접근이 불가능한 북한과 ‘무기 암시장의 큰 손’이 되고픈 중개상들의 욕구에 맞아떨어졌던 셈이다. 이와 유사한 일들이 지금도 계속될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한 대목이다.

문제는 북한 무기의 품질과 고객 응대다. 소화기를 제외하면, 북한 무기에 대해 제대로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여기에 품질 문제가 겹친다. 2002년 예맨은 북한에서 구입한 스커드 미사일에서 결함을 발견했다. 한 에티오피아 관리가 미국 외교관에게 “북한에서 사들인 군수품의 질에 문제가 있다”고 불평한 내용이 위키리크스가 폭로한 미 국무부 문건에 등장하기도 했다.
북한군 병사들이 전방 표적지를 향해 기관총을 사격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이러다 보니 잠재 고객 입장에서는 거액을 들여 북한 무기를 구매하는 것을 주저하게 된다. 중국이라는 대안이 있는 상태에서는 더욱 그렇다.

그런데도 북한은 잠재 고객의 의문을 해소하는데 소극적이었다.

레인저 사건 당시 아제르바이잔측은 북한 무기의 신뢰성 문제를 들어 미사일 10기를 먼저 들여와 자국에서 시험을 하려 했다. 반면 북한은 자국 내 시험을 고집했으며 최소 100기를 사야한다고 맞서 레인저를 분노케 했다. 

당시 북한이 만든 휴대용 지대공미사일은 러시아산 이글라 미사일 개량형보다 성능이 떨어졌다. 오학철은 레인저와 미사일 제조업체 간 의사소통을 제대로 하지 못해 갈등을 부추겼다.
북한군 장병들이 지난해 10월 노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에 참가해 개인화기를 든 채 행진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운송은 어렵고 경쟁은 치열…영향력 축소 가능성

국제사회의 제재 강화로 운송이 쉽지 않은 것은 무기수출을 더욱 어렵게 한다. 

북한의 무기 운송 루트는 극도로 복잡하다. 외국과 직접 연결된 항공편이나 정기 선박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각국 정보기관이 눈에 불을 켜고 북한의 제재 위반 여부를 감시하기 때문이다. 

바닷길을 이용할 때는 인접국으로 물건을 옮기고, 그곳에서 중소형 컨테이너선에 옮겨 대형 항만으로 이동한 뒤 수차례 환적을 해야 한다. 운송비는 비싸고, 시간은 많이 걸린다.

과거에는 남중국해나 동중국해에서 몰래 환적을 하기도 했으나, 미국 등이 초계기와 군함을 투입해 감시를 하면서 이조차도 쉽지 않다.

이는 거래 손익분기점을 높인다. 손익분기점이 높아지면 소량 판매로는 큰 이윤을 얻기 힘들다. 백화점 명품 쇼핑하듯 북한산 무기를 ‘쓸어담는’ 수준은 되어야 거래를 할 수 있다. 수요자가 더욱 줄어들게 되는 대목이다. 

무기 밀매를 둘러싸고 경쟁자가 늘어나면서 북한은 ‘텃밭’인 소화기 시장마저 위협받고 있다. 

이라크와 시리아, 레바논, 예맨 암시장에서는 미국과 유럽, 러시아의 최신 총기들이 범람하고 있다. 심지어 미군이 공급한 글록 권총와 M4 소총, M240 기관총까지 거래되는 실정이다. 독일산 HK416 소총, 대만산 AR-15 계열 소총, 한국산 K2C 소총도 고가에 거래된다.
이라크군 병사가 RPG 로켓을 손에 들고 경계를 서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이같은 결과는 부패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 2016년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시리아 반군에게 공급했던 소총과 박격포 등 수백만달러 상당의 무기가 암시장에서 거래된 사건이 발생했다. 

시리아 반군 양성과 무기 운송에 관여한 요르단 정보총국(GID) 요원들은 CIA와 사우디가 폴란드, 세르비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에서 구매한 AK 소총과 기관총 등을 트럭째 빼내 암시장에 팔았다.

무기를 빼돌린 요원들은 그 돈으로 고가의 SUV 차량, 아이폰 등을 사들였다.

유출된 무기 중 상당수는 범죄조직과 무기 밀매상에게 넘어갔다. 그 결과 지금까지도 포장지를 뜯지 않은 동유럽 AK 소총이 암시장에서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심지어 ‘U.S’라는 라벨이 찍힌 글록 권총이 예맨 수도 사나의 암시장에 등장할 정도다. 

시리아에서는 230달러(25만원)만 있으면 박스도 뜯지 않은 구동독 AK 소총을 살 수 있고, 예맨에서는 1100달러(120만원)에 오스트리아산 슈타이어 소총을 입수할 수 있다.

정부군의 무능도 불법 무기거래를 부추긴다. IS가 이라크 모술을 점령했을 때, 이라크군은 상당량의 K2, M4 소총과 험비 차량 등을 IS에 빼앗겼다. 이 무기들 중 상당수는 암시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북한군 특수부대원들이 유탄발사기가 장착된 AK 소총과 권총을 휴대한 채 행진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국제사회의 제재에 직면한 북한은 무기 판매에 사활을 걸고 있다.

잠입 취재를 통해 북한 무기 밀거래를 다룬 다큐멘터리 ‘잠복’의 감독 매즈 브루거 감독은 미국의소리(VOA)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 정권은 무기를 구입할 고객을 찾는데 필사적이었으며, 그들 중 한 명은 우리에게 고객을 찾을 수 있도록 제발 도와달라고 말한 적도 있다”고 밝혔다.

북한과의 무기 거래는 어느 나라든 불법이다. 하지만 북한은 끊임없이 무기 수출을 시도하면서 제재를 뚫으려 하고 있다.

북한의 불법적인 무기 판매는 핵과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더욱 철저한 감시와 차단이 필요하다. 해상 및 금융거래 차단을 포함한 감시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