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e스몰캡]살아나는 반도체 업황..기회 찾아온 '아이원스'

조용석 2021. 1. 2. 0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특정분야를 타깃으로 한 부품사업의 가장 힘든 점은 아마도 전방산업 업황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일 겁니다.

이번 주 소개할 기업은 전방산업인 반도체의 부진으로 어려웠던 시간을 지나 올해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아이원스(114810)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장비 부품 정밀가공 및 세척·코팅 사업
기술력 지녔으나 전방산업인 반도체 업황에 큰 영향
2018년 사상 최대 매출 기록했으나 2019년 뒷걸음질
반도체 살아난 2021년, 사상 최대 매출액 경신 가능성

[이데일리 조용석 기자] 특정분야를 타깃으로 한 부품사업의 가장 힘든 점은 아마도 전방산업 업황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일 겁니다. 다만 어려운 시기를 버텼다면 전방산업이 호황에 접어들 때 함께 성장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이번 주 소개할 기업은 전방산업인 반도체의 부진으로 어려웠던 시간을 지나 올해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아이원스(114810)입니다.

아이원스는 1993년 동아엔지니어링으로 설립돼 2005년 7월 법인으로 전환했으며 지난 2013년 2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부품의 정밀가공, 반도체 제조장비 부품의 세정 및 코팅을 주요 사업이며,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제조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주요 사업영역은 △정밀가공 △세정 및 코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정밀가공 부문은 챔버, 샤워헤드, 플레이트 등 반도체 제조장비 부품과 캐리어, 마스크 프레임 등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부품을 제조합니다. 주요거래처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 국내기업뿐 아니라 AMAT(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등 해외기업도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자입 부품은 짧게는 1개월에서 길게는 6개월 정도 교체주기가 있으나 원가절감을 위해 세정 후 재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원스는 세라믹, 쿼츠 등 여러 반도체 장비부품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세정하는 기술과 함께 코팅 기술도 보유 중입니다. 2020년 3분기 누적 매출액 구성은 반도체 정밀가공이 69.1%이며 세정 및 코팅이 20.5%를 차지합니다.

2018년 반도체 호황을 등에 업은 아이원스는 그해 매출액 1782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나 2019년은 반도체 업황 부진과 LED, 필터 등 부진사업 정리로 인해 매출액이 1255억원에 그쳐 30% 가까이 역성장을 했습니다.

반도체 업황이 조금씩 살아난 2020년, 아이원스는 3분기 누적실적 112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9.1%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SK증권은 2020년 회사가 매출액 1500억원, 영업익 150억원을 기록하며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019년 대비 매출액은 약 20%, 영업이익은 무려 1400%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입니다. 또 2021년은 반도체 업황이 더욱 좋을 것으로 예상되기에 2018년을 넘어 사상 최대 매출액을 낼 수도 있다는 게 SK증권의 전망입니다.

회사의 또다른 호재는 소재·부품·장비산업 특별조치법 시행 등에 따른 수혜 기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IR협의회는 “동사는 고객사와 협력해 고가의 외산 부품 국산화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왔다”며 “주요산업 핵심기술 및 제품의 수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제도·정책적 지원에 따라, 향후 산업 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일각에서는 고정 인건비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기도 합니다. KB증권은 “지난해 3분기말 기준 직원은 총 548명으로 산업내 유사한 매출규모의 기업대비 인력이 많은 편”이라며 “전방의 가동률 하락 시 고정비 부담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조용석 (chojuri@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