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본질과 맥락을 함께 읽는다면/최나욱 건축가·작가

2020. 12. 31. 0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추사 김정희의 대표작 '세한도'는 고마움을 표현하기 위해 그려졌다.

그가 귀양살이를 하는 동안 제자 이상적이 수차례 책을 보내 준 것에 대한 일종의 답례품이다.

책을 보내 준 것에 대한 고마움으로 그림을 그려 주는 모습은 그저 지식인의 인사치레로 보이기도, 책 자체에 대한 의미 부여가 지나쳐 보이기도 한다.

이상적이 보낸 책은 더더욱 구하기 어려운 희귀품이었으니 그가 김정희에게 보낸 책이란 읽으라는 의미뿐 아니라 몇 달 생활비를 하라는 의미도 있었던 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나욱 건축가·작가

추사 김정희의 대표작 ‘세한도’는 고마움을 표현하기 위해 그려졌다. 그가 귀양살이를 하는 동안 제자 이상적이 수차례 책을 보내 준 것에 대한 일종의 답례품이다. 그림 한편에는 “이상적은 보시게”(藕船是賞)라는 문구와 함께 긴 글이 있다. 이러한 창작 배경은 뛰어난 글과 글씨, 그림 실력과 어우러져 감상의 폭을 확대한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속되는 의리와 그 와중에도 책을 놓지 않는 문인의 정서를 전해 주는 덕분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전시 ‘한겨울 지나 봄 오듯-세한(歲寒)·평안(平安)’은 세한도의 여러 면면을 다룬다. 이전 시대의 익숙하지 않은 내용과 형식을 전해 주는 방식이 무척 친절하다.

다만 과거 문인들의 사연을 현대인이 깊이 공감하기는 어렵다. 여전히 책을 중요하다고 여기고는 있지만, 1년에만 1억권 이상의 책이 발간되는 요즘 세상에서는 낯선 모습이라서다. 책을 보내 준 것에 대한 고마움으로 그림을 그려 주는 모습은 그저 지식인의 인사치레로 보이기도, 책 자체에 대한 의미 부여가 지나쳐 보이기도 한다.

그런데 당시 책은 단지 지적 가치뿐 아니라 상품으로서 갖는 가치 또한 컸다. 예를 들어 ‘주자대전’의 값은 50명 군포의 양에 해당했다. 이상적이 보낸 책은 더더욱 구하기 어려운 희귀품이었으니 그가 김정희에게 보낸 책이란 읽으라는 의미뿐 아니라 몇 달 생활비를 하라는 의미도 있었던 셈이다. 괜히 당시 문인들이 여느 귀중품을 다루듯 책주머니로 책을 보관하고, 책을 묘사하는 그림을 그린 게 아니다.

오늘날 ‘책은 가격과 무관하게 소중한 것’과 같은 믿음은 일련의 배경이 휘발돼 버린 편견에 가까워 보인다. 출판 환경이 달라지는 동안 책의 어떤 특징만을 맹목적으로 가져다 일종의 신화를 만든 것이다. 이로 인해 ‘책은 어때야 한다’거나 ‘이것은 책이 아니’라는 등의 갈등을 빚어내기도 한다. 근거가 되는 ‘원래의 책’이란 그저 자의적 해석을 거친 관념에 불과한데 말이다. 역사를 볼 때마다 ‘원래 그렇다’는 믿음의 상당수는 각자 사정에 따라 필요한 특징만을 가져다 쓴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다른 시대의 작품을 볼 때마다 해당 맥락에 대한 이해는 관람의 깊이를 한층 두텁게 한다. 우리가 막연하게 가져온 믿음의 본질이 무엇인지 되묻게 하고, 같은 대상에 관해 얘기한다는 착각이 어떤 오해를 불러일으킬지 상상하게 한다. 요컨대 이전 시대 책의 가치를 이해하고 나면 김정희와 이상적 간의 관계가 더욱 와닿는 한편 책의 본질에 관해 새로운 상상력을 준다. 책은 왜 가격과 무관해야 하는가, 책에 대한 통념으로 인해 왜 다른 가치는 언급되지 못하는가 같은 물음이다.

이러한 물음은 다른 맥락에 대한 이해도와 상상력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처럼 서로 다른 맥락을 잇는 매체가 유행하는 요즘, 내가 이해한 것이 전혀 다를 수 있다는 조심성이 매우 필요하다. 같은 대상에 대한 다른 이해로 인해 수많은 오해와 혼선이 생겨나고 있는 까닭이다. 한쪽에서는 상식적인 일이 다른 쪽에서는 부당한 일이 되기 일쑤다.

흔히 쓰는 ‘전시회’나 ‘미술관’, ‘예술’이나 ‘예술계’와 같은 보통명사조차 서로 상상하고 이해하는 방식이 모두 다르다. 어느 미술관에서는 훌륭한 작품이 다른 곳에서는 거짓 요행이 되고, 같은 미술계라고 불리는 집단도 막상은 갈기갈기 구분돼 있다. 차라리 지칭하는 용어라도 다르면 차이라도 짐작하겠지만 같은 말 다른 뜻을 사용하니 오해만 깊어진다. 몇 세기 전 세상에 대한 낮은 이해도만큼이나 동시대 다른 집단과의 괴리가 커져간다. 역사를 볼 때마다 ‘원래 그렇다’는 표현의 비합리성을 뉘우치곤 한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