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취소, 취소, 또 취소.."객석 소음조차 그리워요"

김수현 기자 2020. 12. 29. 21: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명 피아니스트 김선욱과의 만남

<앵커>

올해 코로나19로 공연계도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유명 피아니스트 김선욱 씨의 경우에는 국내 독주회 일정마다 코로나 재확산 시기와 맞물려 세 차례나 취소해야 했는데요.

객석의 기침 소리까지 그립다는 김선욱 씨를 김수현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기자>

연주자들이 카메라를 향해 인사하고, 곧바로 연주를 시작합니다.

피아니스트 김선욱 씨와 첼리스트 한재민 군의 듀오 콘서트.

김선욱 씨의 올해 처음이자 마지막 서울 공연은 이렇게 무관중 생중계로 진행됐습니다.

[김선욱/피아니스트 : 이렇게나마 할 수 있어서 너무 기쁘고요. 연주자도 계속 연주를 해야지만 손가락이나 정신이나 모든 게 돌아가거든요.]

독일에 거주 중인 김선욱 씨는 올해 지휘자 데뷔, 유명 악단과 협연 등 전 세계 공연 일정이 많았지만 코로나19로 대부분 취소됐습니다.

자가격리까지 감수하며 준비한 고국의 독주회는 3월부터 세 차례나 취소된 끝에 내년 1월로 미뤄졌습니다.

[김선욱/피아니스트 : 연주를 해야지 저 같은 예술가들도 수입이 생기잖아요. 연주를 못 하니까, 사실 저희도 자영업에 가까운데, 많은 타격이었죠.]

경제적인 타격보다 더 힘든 건 관객과 대면해 공연한다는 자신의 업의 본질이 위협받는 상황입니다.

온라인 공연만으로는 충족할 수 없는 관객과의 교감, 공연장의 공기가 그립습니다.

[김선욱/피아니스트 : (객석에서 나는) 기침 소리나 부스럭부스럭하는 소리들이 그게 그리워요. 가끔 그게 연주에 방해될 때가 있긴 있었어요. 이제는 그 소리조차 없으니까 너무 허전한 거죠.]

모두 새해의 희망을 품고 힘겨웠던 한 해를 마무리하는 요즘, 김선욱 씨는 새해에는 관객을 만난다는 희망을 품고 변함없이 공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박진훈, VJ : 오세관) 

김수현 기자shkim@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