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률 20% 눈앞 '펜트하우스'를 보는 이상한 관전 포인트

정덕현 칼럼니스트 입력 2020. 12. 2. 17:25 수정 2020. 12. 2. 17: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펜트하우스', 너무 어이없는 막장이라 심지어 편해진다는 건
'펜트하우스', 어떤 일이 벌어져도 놀랍지 않은 가짜 판타지


[엔터미디어=정덕현] 예상했던 대로지만 SBS 월화드라마 <펜트하우스>는 벌써부터 20% 시청률을 목전에 두고 있다. 9.2%(닐슨 코리아)로 시작한 드라마는 매회 1% 남짓 시청률을 끌어올리다, 11회에 이르러 19.6%를 기록하며 시청률이 껑충 뛰었다. 시청률이 모든 걸 증명해주는 바로미터가 되지는 않지만, 적어도 이렇게 갑자기 시청률이 뛰어오른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건 개연성 없이 자극적인 설정과 복수극을 통한 고구마와 사이다만을 담음으로써 막장이라는 비판이 쏟아졌지만, 이제는 그 단계를 넘어서 생겨나는 이상한 관전 포인트가 그 이유다.

이상한 관전 포인트라는 건, '욕하면서 본다'는 우리가 흔히 막장을 지칭할 때 쓰는 표현에 이미 들어가 있다. 욕한다는 건, 개연성이 없어서이지만, 그러면서도 보는 건 또 왜일까. 그것도 그냥 보는 게 아니라 찾아보게 되는 건. 자극도 자극이지만, 개연성을 더 이상 기대하지 않는 단계에 이르면 이제 드라마는 더 이상 사실성을 생각하지 않고 가짜라는 게 분명한 일종의 치고받는 게임을 보듯 편해지는 지점에 도달한다. 전혀 사실성이 없어 강 건너 불구경을 하는 것인데, 그 불도 가짜라는 걸 알고 본다.

<펜트하우스>에서 삼성동 어디쯤에 세워진 주상복합 헤라팰리스나 그곳 자녀들이 다닌다는 청아예고 같은 공간은, 현실의 부동산과 교육을 은유하는 것처럼 등장하지만 그 곳에서 벌어지는 개연성 없는 사건들의 연속은 그것이 가짜 판타지라는 걸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제아무리 특권의식을 가진 천민자본주의를 표상하는 부자들이 사는 주상복합이라고 해도, 주민대표 투표로 계속 살지 말지를 결정하는 그런 곳이 어디 있을까. 제아무리 부정한 일들이 벌어지는 예고라고 해도 노골적으로 불공정한 일들이 벌어지는 학교가 존재할까.

그래서 처음 <펜트하우스>를 보는 시청자는 개연성이 부족한 이 세계를 접하면서도 살인, 유기, 불륜, 학대, 폭력 같은 자극적인 코드들에 시선을 빼앗기다가 어느 순간 개연성을 포기하고 폭주하는 그 이야기 속에 저도 모르게 빠져든다. 개연성이 없고 아예 추구하지도 않기 때문에 그 곳에는 말 그대로 무슨 일이든 벌어질 수 있다. 개연성이 붙잡고 있는 작품이 요구하는 최소한의 족쇄를 풀어버리면 남는 건 막장의 자유다.

이 단계에 가면 개연성 부족의 상황들은 시청자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게 아니라 실소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헤라팰리스에 거주하고 있는 강마리(신은경)가 사실은 과거 목욕탕 세신사였고 그 때 인연을 맺은 큰손들 덕분에 인생역전을 한 인물이며, 심지어 지금도 그 큰손들을 모시고 때를 밀어주는 상황 같은 게 가능하다. 물론 거기에는 풍자 코미디적 요소들이 담겨 있지만 이런 일들이 실제로 벌어질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없다.

또 학생들도 마음대로 들어오지 못하는 청아예고 같은 곳에 구호동(박은석) 같은 선생이 들어왔다는 사실도 개연성이 없고, 심지어 그 인물이 엄청난 재력을 가진 로건 리이며 사망한 민설아(조수민)의 양오빠라는 사실도 그렇다. 거기에는 개연성이 있는 게 아니라, 뭐든 원하는 대로 설정하고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작가 마음대로의 선택이 있다.

중요한 건 이런 개연성 없는 세계를 통해 핍박받던 약자들이 저 세상의 가해자들에게 피의 복수를 하는 과정들을 작가와 시청자들이 공모하기 시작한다는 점이다. 개연성은 없어도 저들을 처절히 응징해달라고 시청자들은 요구하고 작가는 그걸 실현시킨다. 그래서 세상에 저런 일은 벌어지지 않아 하면서 때론 실소를 터트리게 하는 개연성 없는 상황들이 전개돼도 시청자들은 그걸 그다지 불편해하지 않게 된다. 어차피 개연성은 기대하지 않는 것이고 대신 가짜 판타지로서의 사이다를 원하게 되기 때문이다.

드라마는 결국 허구이고 현실이 아닌 판타지를 담고 있기 마련이 아니냐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도 어떤 최소한의 개연성이라는 룰이 있다. 그걸 깨뜨리는 건 이 한 작품만의 문제가 아니다. 심지어 개연성을 기대하지 않게 되고 그래서 심지어 무슨 일이 벌어져도 놀랍지 않은 상황은 자칫 작품을 고구마와 사이다로만 단순하게 소비하는 방식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영상 : 도대체 막장의 끝은 어디일까요? 상업적인 목적을 위해 시청률 높이려는 것 외에는 설명이 어려운 '펜트하우스'. 엔터미디어 채널 싸우나에서 정덕현 평론가가 '펜트하우스'의 문제점을 짚어봅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