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난에 집주인 '먹튀' 기승..올 보증금 피해 4천억

안태훈 기자 2020. 11. 25. 20:5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전세난이 계속되면서 전셋값이 오르자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떼이는 세입자가 늘고 있습니다. 빚이 많은 집주인이 전세까지 비싸게 들였다가 둘 다 갚지 못하는 이른바 '깡통 전세'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전셋집을 구할 때 대출을 낀 집은 조심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안태훈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30대 박모 씨.

전 재산을 모아 다세대 주택에 전셋집을 구했습니다.

계약 기간이 끝날 때쯤 제주도에 있는 회사로 이직하려 했지만 무산됐습니다.

1억 원이 넘는 보증금을 몇 달째 돌려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박모 씨/전세보증금 피해자 : 계약서상에는 문제없었어요. 건물에 대한 융자 4억원 정도 있었고 건물 금액에 비해 부동산에서 매우 낮은 거라고 해서 안전하다고 해 계약을 진행하게 됐어요.]

하지만 보증금을 언제쯤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을지 여전히 알 수 없는 처지가 됐습니다.

전세로 살던 사이 건물주가 숨졌고, 생전에 세입자들의 보증금으로 위험성이 큰 곳에 투자를 한 겁니다.

20가구가 넘는 세입자들은 꼼짝없이 발이 묶였습니다.

해당 건물은 경매로 넘어갔지만, 마찬가지로 언제 얼마에 팔릴지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전세난이 길어지면서 이처럼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세입자가 늘고 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보증보험 가입자 가운데 집주인이 전세금을 떼어먹은 사례는 올해 들어 10월까지 2032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전체 기간보다 훨씬 많습니다.

피해 금액으로는 4천억 원에 이릅니다.

이를 감안하면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세입자 가운데도 전세금을 떼인 사례가 크게 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사례가 증가하는 건 전셋값이 오르면서 집주인의 은행 대출과 전세금을 합친 금액이 집값을 뛰어넘는 '깡통 전세'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세입자 입장에선 지금 같은 전셋값 상승기엔 대출을 많이 끼고 있는 전셋집은 들어가지 않는 게 좋다고 조언합니다.

(영상디자인 : 김윤나)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