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상가 임대계약 5년 채운 임차인, 갱신청구 안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8년 10월 개정된 상가임대차보호법(상임법)의 시행 전 구(舊)법에 따라 5년간의 임대보장 기간이 만료된 임차인은 개정법의 적용을 받을 수 없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계약 만료를 3개월 앞둔 2019년 4월 A씨가 더 이상 계약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하자 B씨는 개정법에 따라 10년 임대차가 보장돼야 한다고 맞섰다.
대법원도 "개정 전 법에 따라 의무 임대차 기간이 지나 기간만료로 계약이 종료되는 경우는 10년의 임대보장 기간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8년 10월 개정된 상가임대차보호법(상임법)의 시행 전 구(舊)법에 따라 5년간의 임대보장 기간이 만료된 임차인은 개정법의 적용을 받을 수 없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대법원 제1부(주심 이기택 대법관)는 경북 의성군의 상가건물 주인 A씨가 임차인 B씨를 상대로 제기한 건물명도 소송 상고심에서 A씨 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A씨는 2012년 7월 B씨와 상가 임대계약을 최초로 체결했다. 이후 2014년 7월 월세를 올리고 임대차기간을 2019년 7월까지 연장하는 내용으로 계약을 갱신했다. 그러는 동안 2018년 10월 상임법 개정안이 시행돼 상가 임대보장 기간은 기존 5년에서 10년으로 늘어났다. 계약 만료를 3개월 앞둔 2019년 4월 A씨가 더 이상 계약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하자 B씨는 개정법에 따라 10년 임대차가 보장돼야 한다고 맞섰다.
1심은 B씨의 손을 들어줬다. 하지만 2심은 판결을 뒤집었다. 최초 계약 당시 법이 보장한 5년의 임대 기간이 2017년 이미 끝난 만큼 계약 갱신을 받아들일 의무가 없다는 A씨 주장을 받아들인 것이다. 대법원도 “개정 전 법에 따라 의무 임대차 기간이 지나 기간만료로 계약이 종료되는 경우는 10년의 임대보장 기간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 애플·테슬라 지금 사도 될까? 궁금하면 '해주라'
▶ 네이버에서 한국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마트 와인 매출 1000억…홈술족, 우유·맥주만큼 마셨다
- '주가 하락'에 8000억 베팅한 '청개구리 개미들' 눈물
- 코스닥 시총 1,2위 오른 '셀트리온 형제'
- 롯데 인사 앞두고…신동빈, 정의선 만난 까닭은
- 모더나 "백신, 본인은 효과 보겠지만 타인 감염까지 막을 지는..."
- 샘 해밍턴 "전세 아파트, 층간소음 때문에…"
- "건강상태 노인"…'뽕숭아학당' 임영웅·영탁·이찬원·장민호, 건강검진 충격 결과
- 유지태, 이쯤되면 학위 콜렉터
- '우다사3' 탁재훈 "2007년 전성기, 가정사로 황폐했다"
- [이슈+] 논란·사고 이어져도…시즌2·3 한다는 '펜트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