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도 선방한 생·손보사..3분기 누적 순익 6.1% 늘었다

황원영 2020. 11. 24. 16: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보험사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도 호실적을 거뒀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보험사들의 1∼3분기 당기순이익은 5조5747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3195억 원) 늘었다.

손해보험사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2조4232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0.2% 늘었다.

같은 기간 생명보험사의 당기순이익은 3조1515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1% 늘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보험사들의 1∼3분기 당기순이익은 5조5747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 늘었다. /더팩트 DB

보험사,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5조5747억 원

[더팩트│황원영 기자] 국내 보험사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도 호실적을 거뒀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보험사들의 1∼3분기 당기순이익은 5조5747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3195억 원) 늘었다.

손해보험사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2조4232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0.2% 늘었다.

금리 인하로 이자 수익은 1867억 원 줄었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자동차 사고와 병원 진료가 줄어들면서 자동차 보험 손해율과 장기 보험 손해율이 각각 4.5%포인트, 0.3%포인트 낮아졌기 때문이다.

보험 영업 손실은 3조1825억 원에 달했으나 손실 폭은 지난해보다 5428억 원 줄었다.

같은 기간 생명보험사의 당기순이익은 3조1515억 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1% 늘었다. 저축성 보험 실적 호조 덕분에 보험 영업 손실이 4083억 원가량 축소된 영향이 컸다.

잇단 환매 중단 사태로 은행의 사모펀드 판매가 크게 위축된 가운데 이를 대체하는 차원에서 저축성 보험 가입이 늘어난 측면이 있다는 분석이다.

또 상반기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국내외 증시가 급락하면서 보험사들이 보증준비금을 많이 쌓아야 했지만, 증시가 회복한 3분기에는 보증준비금 전입액이 줄어들었다.

생보사의 보험료 수입은 81조5401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조3432억 원(4.3%) 증가했다.

종목별로는 저축성 보험료가 2조3391억 원, 보장성 보험료가 1조3126억 원 각각 늘었고 변액보험은 6735억 원 줄었다.

같은 기간 손보사의 보험료 수입은 70조888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조9543억 원(5.9%) 늘었다.

종목별로는 장기보험이 2조1045억 원, 자동차보험이 1조5972억 원, 일반보험이 7565억 원 늘었고 퇴직연금은 5039억 원 줄었다.

투자 영업이익은 손보사와 생보사 각각 984억 원, 1412억 원 감소했다. 환율과 금리가 떨어지면서 외화 환산 이익과 이자 수익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보험사의 총자산이익률(ROA)은 0.59%로 작년 동기와 같았지만, 자기자본이익률(ROE)은 5.47%로 작년 동기보다 0.26%포인트 떨어졌다.

생보사의 ROA와 ROE는 각각 0.45%, 4.61%, 손보사의 ROA와 ROE는 각각 1%, 7.56%이다.

지난 9월 말 기준 보험사들의 총자산은 1291조6306억 원으로 1년 전보다 5.6% 늘었다. 이 가운데 자기자본은 141조8177억 원으로 1년 전보다 7% 증가했다.

wony@tf.co.kr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