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앱 판매 비포장식품, 알레르기유발성분 표시 미흡

윤정원 기자 2020. 11. 24. 14: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배달앱에 입점한 프랜차이즈 판매사업자가 판매하는 어린이 기호식품 및 다소비식품을 대상으로 알레르기유발성분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정보 제공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부처에는 ▲배달앱 내 알레르기유발성분 의무표시 대상 판매사업자(가맹점)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비포장식품(외식)의 알레르기유발성분 표시 의무화 등을 요청할 계획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 "비포장식품의 알레르기유발성분 표시 의무화 필요"

【베이비뉴스 윤정원 기자】

배달앱에 입점한 프랜차이즈 판매사업자가 판매하는 어린이 기호식품 및 다소비식품을 대상으로 알레르기유발성분 표시실태를 조사했다 ⓒ베이비뉴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배달앱에 입점한 프랜차이즈 판매사업자가 판매하는 어린이 기호식품 및 다소비식품을 대상으로 알레르기유발성분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정보 제공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 유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가공식품과 일부 비포장식품에 알레르기유발성분을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최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배달앱을 통한 비포장식품의 비대면 소비가 급증하고 있어, 소비자들은 메뉴 선택 시 알레르기유발성분 표시를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의 조사 결과, 5개 배달앱에 입점한 28개 프랜차이즈 판매사업자(가맹점) 중 의무표시 대상 메뉴에 알레르기유발성분을 전부 표시한 사업자는 3개 사업자(던킨도너츠, 배스킨라빈스, 도미노피자)에 불과했다.

5개 배달앱 중 '배달의 민족'은 메뉴별로 알레르기유발성분을 표시하고 있었고, '배달통'과 '요기요'는 프랜차이즈 판매사업자(가맹점)의 메인페이지 하단에 일괄 표시하고 있었다. '위메프오'와 '쿠팡이츠'는 일부 프랜차이즈 판매사업자(가맹점)만 매장·원산지 정보 페이지에 알레르기유발성분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최근 3년 9개월간(2017년 1월~2020년 9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식품알레르기 관련 위해사례는 3251건이며, 이 중 비포장식품(외식) 관련 사례는 1175건(36.2%)으로 전체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비포장식품 알레르기 위해사례(1175건)의 원인으로는 '어패류'가 358건(30.5%)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조리식품' 214건(18.2%), '갑각류' 178건(15.1%), '닭고기' 100건(8.2%) 등의 순이었다.

특히 기타조리식품(214건) 중 햄버거·김밥류·피자·만두류 등 다양한 원료가 포함된 식품을 통해 위해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닭고기 중에서는 닭튀김류(치킨·닭강정 등)로 인한 위해사례가 많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프랜차이즈 사업자(본사)에게 배달앱 내 알레르기유발성분에 대한 표시를 개선하고 안내문구 등 동 정보의 제공 강화를 권고했고, 배달앱 사업자에게는 메뉴별 알레르기유발성분 정보 표시 등을 권고했다.

관련 부처에는 ▲배달앱 내 알레르기유발성분 의무표시 대상 판매사업자(가맹점)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비포장식품(외식)의 알레르기유발성분 표시 의무화 등을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식품알레르기 질환자 및 보호자에게 배달앱 등 온라인으로 비포장식품을 주문할 경우 앱에 게시된 정보 및 프랜차이즈(본사) 홈페이지를 통해 특정 알레르기유발성분 함유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것을 당부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Copyright © 베이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