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의 '기후 특사'로 돌아온 존 케리 전 국무장관

장은교 기자 2020. 11. 24. 10: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존 케리가 돌아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자 인수위원회는 23일(현지시간) 존 케리 전 국무장관을 기후특사로 지명한다고 밝혔다. 2015년 파리기후협약을 이끄는 등 오랫동안 환경정책에 깊은 관심을 갖고 활동해 온 케리 전 장관이 기후 정책 전반을 총괄하는 책임자로 합류하면서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정책이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정부의 기후변화 특사로 지명된 존 케리 전 국무장관 . AP연합뉴스

바이든 당선자는 이날 케리 전 장관을 ‘대통령의 기후변화 특사(special presidential envoy for climate change)’로 지명한다고 밝혔다. 인수위는 케리 전 장관이 국가안보위원회(NSC)에 참석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인수위는 “NSC에 기후변화 책임자가 참석하는 것인 이번이 처음”이라며 “기후변화 문제를 긴급한 국가 안보 문제로 다루겠다는 당선자의 약속을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기후변화 문제를 국가 안보에 상응하는 중요의제로 보겠다는 뜻이다.

바이든 당선자는 후보 시절부터 친환경정책을 주요 공약을 내세웠다. 화석연료 관련 기업들의 기부금을 거부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2050년까지 탄소배출을 ‘0’으로 목표로 교통, 전기, 건축 등 분야에서 친환경에너지 사용을 늘릴 것을 강조하며 친환경에너지 개발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2021년부터 4년동안 2조 달러(약2223조원)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탈퇴한 파리기후협약에도 복귀할 것이라고 밝혔다. 파리기후협약은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시대 이전보다 2℃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5개국이 서명했고 2015년 유엔기후변화회의에서 채택됐으나, 도널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탈퇴를 선언했다. 바이든 인수위는 기후변화 특사 외에 백악관에도 기후 변화 담당관직을 새로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검사출신인 케리 전 장관은 1985년 민주당 메사추세추 상원으로 정치를 시작했다. 2004년 민주당 대선후보로도 선출됐다. 이후 2009년~2013년 미 상원 외교위원장을 지냈고, 2013년~2017년까지 국무장관으로 재직했다. 바이든 당선자와는 외교위원회에서 함께 일하며 인연을 맺었다.

케리 전 장관은 기후변화 문제에 오랫동안 깊은 관심을 보였다. 상원의원 시절 여러 환경 관련 법안을 입안했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 내각에서 2기 국무장관으로 일하며 파리기후협약을 설계하는 역할을 했다. 2015년 국무장관인 그가 손녀를 무릎에 앉히고 파리기후협약에 서명하는 장면은 세계 각국이 미래를 위해 행동에 나서자는 것을 상징하는 장면으로 기억됐다. 2016년에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체험하고 알리기 위해 남극여행을 하기도 했다. 2019년엔 2050년 이전까지 각국의 탄소배출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초당적 기구 ‘월드 워 제로(World War Zero)’ 출범하기도 했다. 대선 때 바이든 캠프에서 탄소배출감축 정책을 개발하는 태스크포스에서 활동했다.

케리 전 장관은 지명 사실이 발표된 뒤 트위터를 통해 “젊은 지도자들, 동맹국과 함께 기후 위기 해결을 위해 일하게 돼 영광”이라고 밝혔다. 케리 전 장관은 “미국은 곧 기후변화위기를 긴급한 국가안보 위협으로 취급하는 정부를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니콜라스 번스 하버드대 교수는 뉴욕타임스에 “케리 전 장관의 지명은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미국이 기후변화 문제에서 국제적 신뢰를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가장 강력한 신호(powerful signal)”라고 말했다. 외교계 거물인 케리 전 장관이 ‘기후변화 특사’라는 직함을 달고 돌아온다는 것만으로도, 세계에 미국의 의지를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케리 전 장관이 파리기후협약을 이끌었을 때보다 이번 임무가 더 힘들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화석연료 제한을 두고 공화당의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장기간 경기침체가 우려되면서 여전히 환경문제를 ‘미래의 것’으로 보는 시각과도 싸워야 하기 때문이다.

장은교 기자 indi@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