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뀐 점심 풍속..'덜어먹기' 어디까지?

우정화 2020. 11. 23. 21: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가 직장인들의 점심 풍경도 바꿔놓고 있습니다.

물론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직장인들이 선호하는 메뉴에 김치찌개와 된장찌개 같은 찌개 종류가 빠지질 않았죠.

그런데 한 시장조사 전문업체의 조사결과, 코로나 이후에는 절반 이상이 이런 음식들을 될 수 있으면 피했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찌개처럼 여러 명이 함께 즐기는 음식을 주문해야 할 때는 새 수저를 사용한다'는 응답도 절반 가까이 나왔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이렇게 다 같이 먹는 음식에선 덜어 먹기가 자리 잡았지만, 방역 측면에서 볼 때 우려되는 부분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뭘 조심해야 하는지 우정화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늘 점심 주메뉴는 육개장입니다.

곁들여서 나온 반찬이 김치와 깻잎 등 모두 여섯 가지, 요즘 들어 이 반찬에 젓가락을 대기가 망설여집니다.

[조경호/직장인 : "예전에 반찬 나왔을 때는 아무 생각없이 그냥 손이 막 가고 했었거든요, 요즘엔 아무래도 코로나19 때문에…."]

[이종문/직장인 : "반찬에 예전처럼 손이 잘 안 가요. 제 것만 나오는 것만 위주로 먹는 것 같아요."]

여럿이 반찬을 나눠 먹는 건 우리 음식 문화 특징입니다.

그러다 보니 식사 중 거리가 좀 더 가까워지고, 반찬을 담은 그릇이 바이러스의 진원지가 될 수도 있어 될 수 있으면 따로 먹자는 지적이 전문가들 사이에 나옵니다.

[이재갑/한림대 감염내과 교수 : "덜어 먹지 않고 먹었을 때 음식물을 통해서 바이러스가 직접 전달되는 건 아니거든요. 손길의 접촉이 늘어나거나 용기, 식기 이런 것들이 오염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다 보니까."]

불편하더라도 여러 사람이 함께 식사할 때는 '음식 덜어 먹기'가 꼭 필요합니다.

반찬처럼 적은 양이 나오는 음식도 개인별 접시에 따로 담아 먹거나, 일부 식당에서 하고 있는 '작은 1인상 차림'도 대안으로 꼽힙니다.

[양승현/1인상 제공 식당 주인 : "미리 저희가 덜어드려서 한 상에서 드실 수 있도록 하는 '덜어 먹기'를 가장 신경 쓰고 있습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복귀로 식당 방역도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상황.

정부도 전국 만 9천여 곳을 안심 식당으로 지정하는 등 덜어 먹기를 생활 속 방역 수단으로 적극 권장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촬영기자:민창호 심규일/영상편집:신승기/그래픽:김정현

우정화 기자 (jhw01@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