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rue crusader for Korea (KOR)

2020. 11. 23. 19:3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름 석 자만으로 가슴 뛰게 하는 사람이 있다.

캐나다 출신 수의사 프랭크 스코필드(1889-1970) 박사도 그중 하나다.

석호필, 스코필드 박사가 34번째 민족대표로 불리는 이유다.

뜨거운 가슴과 차가운 머리로 조선인을 위해 한발 한발 나아간 석호필이 그립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ome names just make my heart flutter, and Canadian veterinarian Frank Schofield (1889-1970), is one of them. Dr. Schofield came to Korea as a professor of microbiology at Severance Medical School in August 1916. In the following..

KANG KI-HEON The author is an industry 1 team reporterof the JoongAng Ilbo.

Some names just make my heart flutter, and Canadian veterinarian Frank Schofield (1889-1970), is one of them. Dr. Schofield came to Korea as a professor of microbiology at Severance Medical School in August 1916. In the following year, he passed the missionary test and got himself a Korean name. His Korean name was Seok Ho-pil, reflecting his determination to help Koreans with strong resolve and the heart of a tiger.

Seok Ho-pil took part in liberating Korea from Japan’s colonial rule by participating in the preparation fo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In April that year, Japanese military police murdered 24 Koreans in a town in Gyeonggi, now known as the “Jeam-ri Massacre.” The Japanese police nailed up the entrances, fired guns and set a church on fire. Two days after the slaughter, Seok visited the site and recovered the bodies.

He was a missionary who took photos of the massacre and heralded the brutality to the world. The black-and-white photos of the graphic scene vividly illustrate the cruelty of imperial Japan even after a century. Dr. Schofield is known as the 34th national representative of Korea following the 33 Korean leader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being awarded the Order of Merit for National Foundation, he said that he wanted to be buried in Korea after his death, and he became the first foreigner to be buried in the National Cemetery.

He left another gift for Korea by studying vaccines. In 1918, the Spanish flu virus arrived in the Korean Peninsula. Seok got involved in the medical scene, observed and recorded the symptoms of Korean patients. He published “Pandemic Influenza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Etiology” in an American medical journal in 1919. That is the only medical paper investigating the appearance of the pandemic in the Korean Peninsula.

“The great influenza pandemic made its appearance in Korea during the month of September 1918. There seems to be no doubt that the infection came from Europe, via Siberia. The disease spread from north to south along the line of the Southern Manchurian Railway… At present, it is impossible to estimate either the number of cases or deaths, as accurate information has not been received from the Japanese authorities. Most of the schools were closed, owing to the high incidence among scholars and teachers,” he wrote.

Schofield collected and analyzed phlegm samples of 20 patients for vaccine development, but unfortunately, it didn’t lead to a final vaccine development. In an exhausting world of blaming others and making excuses, the virus is rampant again.

I miss Seok Ho-pil, who took a step forward for the Korean people with his warm heart and cool brain.

석호필의 백신 강기헌 산업1팀 기자

이름 석 자만으로 가슴 뛰게 하는 사람이 있다. 캐나다 출신 수의사 프랭크 스코필드(1889-1970) 박사도 그중 하나다. 스코필드 박사는 1916년 8월 세브란스에 세균학 교수로 부임하면서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1917년 선교사 시험에 합격한 그는 한국 이름을 지었다. 철석같은 굳은(石) 의지와 호랑이(虎)의 마음으로 한국인을 돕는(弼) 사람이 되겠다는 의지를 담아 석 자가 바로 석호필(石虎弼)이다.

석호필은 1919년 3·1 운동을 위한 사전 준비에 참여하면서 독립운동에 앞장섰다. 만세운동이 벌어진 그해 4월 수원군 향남면 제암리(현 화성시 향남읍)에선 일본 군경이 조선인 24명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했다. 제암리 학살사건이다. 일제는 출입문을 못질하고 총을 쏘며 교회당에 불을 질렀다. 석호필은 사건 발생 이틀 후 현장을 찾아가 유골을 수습했다.

학살의 현장을 사진에 담아 세계에 알린 것도 바로 그다. 현장을 담은 흑백사진은 백 년이 지난 후에도 일제의 만행을 뚜렷하게 고발하고 있다. 석호필, 스코필드 박사가 34번째 민족대표로 불리는 이유다. 1968년 건국공로훈장을 받은 그는 “죽거든 한국 땅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고 외국인 최초로 국립현충원에 안장됐다.

석호필이 한국에 남긴 선물은 하나가 더 있다. 바로 백신 연구다. 1918년 세계적으로 유행한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는 한반도에도 상륙했다. 현장에 뛰어든 석호필은 조선인 환자의 증상을 관찰해 기록으로 남겼다. 미국 의학회지에 1919년 실린 ‘한국에서 발생한 판데믹 인플루엔자, 사례와 병인(病因)’이다. 한반도 대유행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유일한 의학 논문이다.

“한국 인플루엔자 대유행은 1918년 9월 시작했다. 시베리아를 통해 유럽에서 전파되어 왔음이 분명하다. 질병은 철도를 따라 북쪽에서 남쪽으로 퍼졌다. (중략) 일본 당국에서 정보를 받지 못해 정확한 환자와 사망자 수를 파악하는 건 불가능하다. 교사와 학생의 발생률이 높아 학교 대부분이 문을 닫았다.”

석호필은 백신 개발을 위해 환자 20명의 가래를 모아 분석도 마쳤다. 아쉽게도 최종 개발로 이어지진 못했다. 남탓과 핑계가 난무하는 지겨운 세상에 바이러스마저 다시 활개친다. 뜨거운 가슴과 차가운 머리로 조선인을 위해 한발 한발 나아간 석호필이 그립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