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압박에 '무게' 블링컨, 바이든 외교수장으로..이번엔 다를까

김동현 2020. 11. 23. 15: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블링컨, 오바마때 부장관 지내..박근혜 정부와 대북 제재 공조
전문가 "과거와 상황 달라..'전략적 인내' 회귀하지 않을 것"
바이든 정부 초대 국무장관 유력한 앤서니 블링컨 (워싱턴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새 행정부 초대 국무장관으로 내정한 것으로 알려진 앤서니 블링컨 전 국무부 부장관. 미국 언론은 "바이든 당선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패배를 시인하기 전이라도 차기 내각을 구성할 예정이며 블링컨을 국무장관으로 임명할 계획"이라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진은 2016년 9월 블링컨이 국무부 부장관 시절 상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하는 모습. sungok@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내년 1월 출범할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 수장에 토니 블링컨 전 국무부 부장관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반도 정책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우리 외교 당국은 일찌감치 블링컨이 새 정부에서 국무장관 등 주요 외교·안보 직책을 맡을 가능성을 주시해왔다.

그가 한반도 문제 등 한미 현안을 오래전부터 다뤘던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그의 발탁에 기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블링컨은 오바마 시절 부장관을 지내며 강력한 압박으로 북한의 태도 변화를 꾀하는 '전략적 인내' 정책을 추진했다.

외교가에서는 그가 과거 기조를 유지할지, 달라진 상황을 반영해 새로운 대북 접근법을 모색할지 주목한다.

블룸버그통신과 뉴욕타임스 등 미국의 주요 언론들은 23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블링컨 전 부장관을 국무장관으로 임명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블링컨은 바이든이 상원 외교위원장이었던 2002년부터 외교위원회 수석위원으로 관계를 이어왔으며, 이후 2009년 바이든이 부통령이 되자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에 임명됐다.

그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국무부 부장관을 지내며 오바마 정부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에 따라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을 여러 차례 방문했다.

2015년 10월 방한 회견에서 "아시아 재균형 정책의 심장은 한미동맹"이라고 하기도 했다.

그는 부장관에 부임하자마자 북한의 두 차례 핵실험(4·5차)과 각종 탄도미사일 발사 등 연쇄 도발에 대응해야 했다.

한미 단일 대오와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응을 강조하면서 박근혜 정부와 보조를 맞춰 촘촘한 대북 제재망을 구축했다.

그는 2016년 10월 방한 중 강연에서 북한의 핵 개발을 비판했는데, 이에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가라앉는 배와 같은 운명에 처한 오바마 패의 가련한 탄식 소리"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북한의 핵 개발을 막지 못한 경험 때문인지 그는 퇴임 후 2017년 3월 뉴욕타임스 기고에서 북한의 행동 변화는 지도부가 바뀔 때만 가능할 것이라며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대북 압박을 주장했다.

문재인 대통령 당선 직후인 2017년 6월 한 포럼에서는 "전임 정부에서는 일관된 대북압박 캠페인을 벌이는 것에 한미 정부 간에 한 치의 틈도 없었다"며 "(한국)새 정부는 다른 (대북)접근법을 갖고 있고, 이는 미국 외교를 조금 더 어렵게 한다"고 주장했다.

한미 외교차관 회담 임성남(오른쪽) 외교부 1차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2016년 4월 19일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제3차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 직전 악수 하고 있다.[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그러나 북한이 이미 핵 능력을 고도화한 지금 미국이 과거와 같은 매뉴얼로 대응할 것이라 단정할 수 없다는 게 다수 전문가 평가다.

김준형 국립외교원장은 "당시에는 북한이 핵무기를 완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미국이 방치나 제재를 통해 대처하는 게 가능했지만, 이제는 그렇게 할 수 없다"며 "북한과 협상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지난 8일 "바이든 쪽 여러 인사가 공개적으로 하는 얘기를 들어보면 그때의 전략적 인내로 돌아간다는 것은 아닐 것 같다"고 밝혔다.

블링컨이 부장관 때와 달리 앞으로는 미국의 전 세계 외교를 책임지는 장관으로서 한반도 문제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그는 지난 5월 19일 CBS 화상대담에서 "바이든 후보의 취임 후 첫 번째 외교정책 우선순위는 코로나 사태 대응일 것이며, 백신 개발, 경기 회복 등에서 국제 공조를 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세계 질서를 만들어나가는 데 있어서 미국의 관여와 리더십이 중요하다고 강조해왔으며 트럼프 시절 소원해진 전통적인 동맹 관계 회복에 힘쓸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지난 7월 9일 허드슨 웨비나에서 "미국처럼 강한 국가도 혼자서 해결할 수 없다"며 기후변화, 팬데믹 대응, 불법무기 확산 등 전 세계가 직면한 문제를 풀기 위해 국가 간 협력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bluekey@yna.co.kr

☞ 서울 대기업 건물서 직원이 아내 살해 후 극단 선택
☞ 곤충요리 먹는 중국 황후…중국 네티즌 '격분'
☞ 대마 재배해 피운 20대 모델 커플…단속 피한 방법은
☞ '교도소서 부부관계 허용하자'…20년만에 재공론화
☞ 12세 소녀 복통에 병원 갔더니…뱃속에 머리카락 뭉치
☞ 진돗개 모녀 입양 후 보신하려고 도살한 70대 구속
☞ '소음 못참아' 이웃집에 화염병 투척하고 경찰 출동하자…
☞ '숙취 운전' 허망한 은퇴 박한이, 삼성 코치로 복귀
☞ 논란 말 아끼던 김연경 열흘 만에 입 열었다
☞ 쓰레기더미 속 아들 방치한 엄마…경찰이 선처한 까닭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