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이 온다..뉴욕증시, 포스트코로나 꿈꾸며 배당·IPO 재개

김인오 2020. 11. 23. 14: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월가 빌 애크먼·손정의 비관론 불구
에스티로더·마라톤오일 배당 재개
GM등도 "내년 상반기 재개 가능"
연말 도어대시 등 대어 줄줄이 IPO
[사진 제공 = 에스티로더]
중국발 코로나바이러스19(COVID-19) 재확산에도 불구하고 뉴욕증시 상장 주요 기업들이 속속 배당 재개에 나섰다. 주요국 정부가 방역 규제 강도를 높이며 기간 연장에 들어가고 월가 큰 손 투자자들이 '최악의 위기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시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다가서는 분위기다. 연말에는 '미국판 배달의 민족' 도어대시 등이 줄줄이 상장에 나서기로 하는 등 뉴욕증시는 불안과 기대가 뒤섞여 있다.

2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S&P다우존스인덱스를 인용해 S&P500지수에 포함된 기업 중 배당 중단을 선언했던 42개곳 중 6곳이 배당 지급 재개에 들어갔으며 다른 기업도 속속 배당 재개 언급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를 두고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마크 잔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이 숨 쉬기 시작했다"면서 "배당 재개는 경영진이 코로나 이후 호조를 예상했다는 긍정적인 신호"라고 평가했다.

배당 재개에 나선 대표적인 기업은 마스크 착용 의무화로 역풍을 맞았던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 에스티로다. 지난 2일 회사는 이사회를 열고 주주 배당을 재개하기로 하면서 배당금을 기존보다 10%올려 1주당 53센트로 정했다. 이번 결정은 오는 30일 기준 주주에 적용되고 실제 지급은 다음달 15일에 이뤄진다.

코로나19 사태로 해외 여행을 비롯한 각종 산업 현장이 멈춰서면서 최악의 위기를 맞았던 석유사 마라톤 오일도 배당을 재개해 오는 12월 10일 배당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주당 0.03달러를 지급하기로 해 이전에 비해 40%줄어든 금액이지만 배당을 재개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는 것이 시장 평가다.

식당 단축 영업 등 사회적 거리두기 타격을 받은 미국 최대 고급 식당 업체 다든 레스토랑도 지난 11월부로 배당 재개를 선언했다.

코로나 19 탓에 임대료·주주 배당금 지급 불가를 선언했던 미국 대표 백화점 체인 콜스와 글로벌 의류 브랜드 사인 갭 경영진도 내년 상반기 배당 재개를 언급했다. 제네럴모터스(GM)의 매리 바라 최고경영자(CEO)는 "최근의 회복세가 이어진다면 내년 중반에 다시 주주 배당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주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캐피널 회장과 손마사요시(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연말 최악의 위기 발생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22일 몬세프 슬라위 백악관 코로나 백신 개발 초고속 총력팀 최고책임자가 "백신을 승인 한다음날인 12월 11일이나 12일부터 미국인들이 실제 접종을 받을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회복 기대감이 수그러들지 않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이 증시 상장을 기대해온 유망 기업들도 줄줄이 IPO에 나선다. 지난 13일 미국 최대 음식배달 업체 도어대시에 이어 16일 '전세계 최대 공유 숙박업체' 에어비앤비, 18일 온라인 판매 신용사 어펌, 19일 아동·청소년 인기 온라인 게임사 로블록스, 20일 온라인 판매 플랫폼 위시 등이 줄줄이 증권당국에 IPO신청서를 제출했다. 구체적인 일정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CNBC는 연말 안으로 상장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김인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