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K- 모빌리티시대 연다⑧] "ICT 기업보다 더 ICT"..현대차 혁신은 '현재 진행형'

장우진 2020. 11. 22. 18: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타임스 장우진 기자] 스마트 모빌리티 기업으로 전환을 선언한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기업과 협업 관계를 넓혀가며 초단거리 모빌리티부터 하늘길까지 전방위적으로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래 모빌리티 기술확보와 동시에 정부의 규제 완화가 조화를 이뤄 국내 기업이 글로벌 선진사례를 주도해 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초단거리부터 하늘길까지"…스마트 모빌리티 기업 박차= 2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작년말 '2025 전략'을 발표한 이후 지능형 모빌리티 제품과 서비스 강화를 위한 계획을 단계별로 수행하고 있다. 지능형 모빌리티 제품은 전동화 차량을 포함해 로보틱스, 개인비행체(PAV) 등이 해당되며 지능형 모빌리티 서비스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결합된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비롯해 금융·충전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앞서 정 회장은 지난 2018년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소비자가전쇼) 2018에서 "ICT(정보통신기술) 기업보다 더 ICT다운 기업이 돼야 한다"며 미래 성장 방향을 제시했다. 내연기관 기술뿐 아니라 배터리, 전동화 기술,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6세대 이동통신 등 4차산업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모빌리티 기업으로 전환한다는 전략이다.

이후 현대차는 연구개발(R&D) 및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 등을 통해 관련 기술 확보에 나섰다. 자율주행차의 경우 미국 앱티브사와 2조4000억원씩 투자해 합작법인 모셔널을 설립했으며 오는 2022년 로보택시 및 모빌리티 사업자에게 자율주행 시스템과 지원 기술을 공급키로 했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의 경우 현대차는 5년간 15억 달러(1조8000억원)를 투자할 계획으로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세웠다. 이와 관련 현대차는 미국 우버와 손잡고 에어 택시 개발에 나서고 있으며 올 초에는 PAV 콘셉트인 'S-A1'를 공개했다. 또 싱가포르에는 2022년까지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를 완공하고 UAM 이착륙장을 두기로 하며 사업을 구체화 해 나가고 있다.

수소경제 분야의 경우 독일 하이드로지니어스, 스위스 GRZ 테크놀로지스, 스웨덴의 임팩트 코팅스, 이스라엘 H2프로 등과 협업 관계를 구축하며 수소 생산부터 압축 등 기술확보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는 오는 2030년까지 유럽 2만5000대, 중국 2만7000대, 미국 1만2000대의 수소트럭을 보급키로 했으며 미국에는 또 수소 트랙터 판매도 추진 중에 있다. 현재 글로벌 수소 승용차를 이끄는 넥쏘의 경우 3~4년 내에 후속 모델을 낸다는 계획이다.

1마일(1.6㎞) 이내 거리를 일컫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시장에도 뛰어들었다. 현대차는 지난해 6월 전동킥보드 기업 올룰루에 40억원을 투자했으며 계열사인 기아차는 올룰루와 협업해 지난 6월부터 직영서비스센터에 전동킥보드 서비스를 도입했다.

◇"규제 완화 통해 선진사례 주도해야"=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기업과 협업 등을 토대로 기술 확보에 나서고 있지만 갈 길은 여전히 멀다. 상용화 시점이 10년 이내로 다가왔지만 대중화를 위해서는 기술 확보와 동시에 제도 개선이 동반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표적으로 완전 자율주행에 따른 커넥티비티 서비스의 안정적 구축을 위해서는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력이 필요하다. 현대차가 최근 엔비디아와 협력 관계를 확대하고 고성능의 정보처리 반도체인 '엔비디아 드라이브'를 전 차종으로 확대키로 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UAM의 경우 고도제한이 헬리콥터와 겹친다는 점, 서울 시내 대부분이 비행제한구역에 해당된다는 점 등에서 국방부, 국토부 등 다수 정부 기관과 협력이 필요하다.

정부도 지난 6월 발표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에서 UAM 시험·실증단계에서 규제없이 비행할 수 있도록 특별자유화구역을 지정해 운용하기로 하는 등 가이드라인 마련에 나섰다. 한국은 현재 미국과 유럽의 가이드라인를 감안해 국내 상황에 맞는 제도 마련을 추진 중이다.

일부에서는 글로벌 사례를 따라가기보다 국내 기업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행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규제에 막혀있다 보니 국내 기업이 보유한 선진 기술력이 제대로 발휘되기 어렵다는 진단이다.

이와 관련, 배효수 이모빌리티연구조합 국장은 지난 19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미래모빌리티포럼 설립 총회 및 토론회'에서 차체를 대폭 높여 미래형 자동차가 교통체증을 피해 중앙선을 다니는 모습, 소방차에 수직이착륙기를 연결해 화재시 고층 건물의 불을 끄는 모습, 초고속 전동화 열차 등의 미래 모빌리티 영상을 공개했다. 그러면서 그는 "영상에 나오는 미래 모빌리티는 국내에서는 불법으로 정책상 규제 대상"이라고 지적했다.

배 국장은 "도로를 다닌다고 해서 자동차냐 비행기냐 등의 여러 아이디어가 나오지만 정책적 제한때문에 기술적으로 앞서나가는 부분에서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며 "정부와 지자체는 선진사례, 해외사례 등을 먼저 확인하지만 이제는 우리가 글로벌 선진사례, 주도사례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장우진기자 jwj17@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