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작년 산재 인정 '과로사'만 300명 육박..5년 동안 9946명 신청
[경향신문]
지난해 300명 가까운 노동자가 과로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격무와 스트레스로 뇌·심장·혈관계통에 문제가 생겨 죽거나 질병을 얻은 노동자는 지난 5년간 3591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임종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1일 근로복지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뇌·심혈관계 질병으로 숨져 산재보험금 지급을 신청한 747건 가운데 업무와의 인과관계가 확인돼 산업재해(과로사)로 인정받은 사례는 292건이었다. 올해는 지난 8월까지 총 200명이 과로사 산재 인정을 받았다.
산재 인정을 받은 과로사 건수는 2016년 150건에서 지난해 292건으로 매년 늘고 있다. 2016년부터 지난 8월까지 총 9946명이 과로로 인한 질병·사망을 산업재해로 인정해달라고 근로복지공단에 신청했고, 이 가운데 과로사 승인을 받은 사례는 1113건이었다.
과로사가 가장 많이 발생한 업종은 ‘건축건설공사업’이었다. 2016년부터 올해까지 총 269명이 과로사 산재 신청을 냈다. ‘건물 등 종합관리사업’ ‘도·소매 및 소비자용품수리업’ 등이 뒤를 이었다.
최근 과로사가 잇따르고 있는 민간택배업종의 경우 올해 2명(CJ대한통운)만 과로사로 집계됐다. 택배업 전체에선 우체국택배 2명을 더해 올해 총 4명이 과로로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임 의원은 “택배 등 특수고용직은 ‘적용 제외 신청’으로 산재보험에서 빠져나가는 사례가 많아 실제 사망자보다 축소 집계됐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근로복지공단의 과로사 승인율이 아직 저조한 상황이다. 이에 대한 제도개선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보석으론 안 나가겠단’ 김용현에…고법 “항고 기각” 석방 결정 유지
- [속보] 트럼프 “이스라엘·이란, 완전한 휴전 합의···‘12일간의 전쟁’ 끝났다”
- [속보]이 대통령, 서유기 ‘파초선’ 들어 “작은 판단에 따라 누군가 살고 죽어”
- [속보] 이란 외무, 적대 행위 종료 시사···“군사작전 마지막 순간까지 계속됐다”
- 숙명여대 이어 국민대도···김건희 여사 박사학위 무효 절차 착수
- [속보] 이 대통령 “해양수산부 12월까지 부산으로 이전하라” 지시
- 김민석 청문회에서 때아닌 주진우 군 면제사유 공방
- 제주항공 참사로 부모 잃은 미성년 남매, 빚 떠안을 위기 벗어났다
- 윤석열 파면 선고에 경찰버스 부쉈던 30대 남성, 징역형 집행유예
- [속보]코스피, 3년 9개월 만에 ‘3100선’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