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348] 추상 조각의 원조인 케로스의 하프 연주자
의자에 앉아 하프를 연주하며 노래하는 남자의 대리석 조각이다. 납작한 타원형에 코만 솟아오른 얼굴은 20세기 초 화가 모딜리아니의 단순한 인물화나 브랑쿠시의 추상 조각을 닮았다. 매끈한 원통형만으로 유연한 팔, 우아한 의자 곡선, 박자에 맞춰 발끝을 까딱대는 듯 생동감 있는 연주자의 분위기를 표현한 걸 보면 피카소가 떠오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 조각이 현대미술을 닮았다는 건 완전히 틀리는 말이다. 사실은 현대의 미술가들이 이를 모방해왔기 때문이다.
추상 조각의 원조 격인 이 조각은 지금부터 5000년 전, 케로스섬에서 만들어졌다. 케로스는 그리스 본토와 소아시아 사이 에게해에 점점이 흩어져 있는 키클라데스 열도 중 하나다. 어떤 섬에서든 최소한 다른 섬 하나는 육안으로 보일 정도로 서로 가까운 키클라데스 열도는 기원전 3000년경 청동기 시대부터 인접한 그리스나 크레타와는 다른 독자적 조형 언어를 만들어냈다. 그중 이처럼 극도로 단순한 형태의 대리석 인물상은 작게는 수 센티미터짜리부터 크게는 1미터가 넘는 것까지 다량 발견됐는데, 채색이 남은 상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지금처럼 단순한 모습은 아니었을 것이다. 키클라데스 인물상 대부분은 솟아오른 가슴 아래로 두 팔을 가지런히 모은 여성상인데, 이 하프 연주자는 남성임이 분명한 희귀한 사례다.
불행히도 이 상을 만든 목적은 알 수가 없다. 무분별하게 도굴한 탓에 19세기 말에 처음 발견할 때부터 치밀한 고고학적 조사가 불가했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인형이라 하고, 누군가는 신상(神像)이라 하며, 또 누군가는 그 중간쯤의 귀한 물건이라고 했을 뿐이다. 과연 이 남자는 누구를 위해 이토록 우아한 자태로 연주한 것인지 궁금하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울 개포 ‘경우현’ 통합 재건축… 양재천 품은 2320가구 들어선다
- [만물상] 학부모罪 ‘징역 1년 벌금 5000만원’
- “괴롭히길래”...같은 요양병원 환자 살해한 50대 징역 13년
- 나도 모르게 대학 입학 취소… 재수학원 동료가 벌인 짓이었다
- 아시안게임 金 차준환·김채연, 사대륙선수권 우승 도전
- ‘80m 아래로 가라앉은 제22서경호’...해경, 선사 등 4곳 압수수색
- 유리창 뚫은 쇳조각 맞고도 운전대 꼭 쥔 美기사… “승객 지켜 다행”
- “때 되면 간다”더니… 대만 스타 왕대륙, 병역기피 혐의 체포
- “까마귀 하나, 상해 거쳐 북경” 블랙요원 신상 유출범의 음성 암호
- 네이버·카카오, 한경협 합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