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의대생 사과하든 말든" vs 의협 "사과 안 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본과 4학년 학생들의 의사 국가고시(국시) 문제와 관련해 정부가 "의대생들의 사과는 국시 추가 실시의 전제조건이 아니다"는 입장을 밝히자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사과 계획 자체가 없다"는 대응으로 맞섰다.
의협은 13일 "의대생 국시 재응시 문제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 계획이 전혀 없음을 알려 드린다"며 "의대생들의 국시 거부는 정부의 일방적 정책 강행에 저항해 올바른 목소리를 내고자 한 의로운 취지의 행동이었으므로 의대생들이 사과할 사안이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년도 신규 배출 의사 줄어들면 국민만 피해 입어
의협은 13일 “의대생 국시 재응시 문제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 계획이 전혀 없음을 알려 드린다”며 “의대생들의 국시 거부는 정부의 일방적 정책 강행에 저항해 올바른 목소리를 내고자 한 의로운 취지의 행동이었으므로 의대생들이 사과할 사안이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일방적 정책 강행’이란 문재인정부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의료계 동의 없이 의대 정원 증원, 공공의대 신설 등 의료정책을 추진하려던 것을 뜻한다. 이에 맞서 의협은 의사들의 집단휴진(파업)에 돌입했고 ‘예비 의사’인 의대 4학년생들도 선배들과 연대하는 차원에서 의사 국시 실기시험 응시를 거부했다.
결국 정부가 무릎을 꿇고 의대 정원 증원, 공공의대 신설 등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정부와 의료계 간에 합의가 이뤄졌다. 소기의 성과를 거둔 의협은 파업을 철회했다. 이에 의대생들도 방침을 바꿔 국시에 응시, 의사가 되기로 결심했으나 정부는 ‘의대생 구제를 위한 국시 추가 실시는 없다’는 입장이 확고하다.
보건복지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다른 분야 국가고시들과의 형평성을 들어 의대생들한테 국시 응시 기회를 추가로 부여하는 건 ‘불공정’이라고 지적해왔다. “국민의 양해가 우선돼야 한다”고도 했다.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