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4명 중 1명은 '숨은 유튜버'.."팀장님한테는 비밀이에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직장인 4명 중 1명 이상이 개인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3명 중 1명은 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채널 운영자 가운데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는 29.4%였고 수익 규모는 월평균 14만원, 연평균 117만원 선으로 집계됐다.
82.1%의 응답자는 '유튜브 채널 운영을 위해 비용이 발생했다'고 답했는데, 지출 항목 중 가장 많은 것이 '콘텐츠 관련 준비 비용'(42.3%)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다정 기자 = 직장인 4명 중 1명 이상이 개인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3명 중 1명은 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회사 동료에게 자신이 유튜버라는 것을 공개하지 않았다.
인크루트와 알바콜은 지난달 25~29일 735명(직장인 539명 포함)을 대상으로 '직장인 유튜버'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6일 밝혔다. 조사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는 ±3.61%다.
먼저 전체 응답자 가운데 개인 유튜브 채널을 운영한다는 비율은 32.3%였고 직장인의 경우 29.3%로 조사됐다. 운영하는 이유로는 '취미생활 및 일상 기록'(47.0%)을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고 '수익창출, 부업'(36.7%)이 뒤를 이었다. 그 외에 '업무 커리어, 포트폴리오 구축 차원'(10.2%), '본업, 본인 홍보 차원'(5.3%) 등의 응답도 있었다.
유튜브 채널 운영자 가운데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는 29.4%였고 수익 규모는 월평균 14만원, 연평균 117만원 선으로 집계됐다. 수익이 많은 경우 월 52만원, 연간 459만원까지 수익을 올린 경우도 있었다.
다만 재직중인 직장에 수익 발생 사실을 안내하거나 수익을 신고한 경우는 14.4%에 그쳤다. '신고할 정도로 수익이 높지 않아서'(49.6%)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고, '(사규에) 신고 의무가 없음'(37.8%), '신고 의무에 대해 몰랐음'(12.6%) 등의 답변도 있었다.
한편 채널 운영에 들어간 돈도 작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82.1%의 응답자는 '유튜브 채널 운영을 위해 비용이 발생했다'고 답했는데, 지출 항목 중 가장 많은 것이 '콘텐츠 관련 준비 비용'(42.3%)이었다.
이어 '방송·송출장비 관련 비용'(20.5%). '편집·출연료 등 인건비'(13.7%), '스튜디오, 장소 대관 비용'(5.6%) 순이었다. 각 항목별 누적비용은 콘텐츠 준비 74만원, 방송·송출장비 56만원, 인건비 31만원 등 평균 150만원 선이었다.
또한 응답자의 68.3%는 '회사 또는 동료가 (운영 사실을) 아는 것은 부담된다'고 답했다. 가장 큰 이유는 '알려지는 것 자체가 싫어서'(56.0%)였으며 '부업으로 인한 업무 지적 또는 핀잔 등을 원치 않아서'(32.7%), '운영을 썩 잘하고 있지 않아서'(11.3%) 등의 응답도 있었다.
maum@news1.kr
Copyright©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애로부부' 이광섭-이송이, 부부관계 고민…'스킨십 거부에 상처받기도'(종합)
- '비밀스럽게 만나자' 스폰 제안 받은 모델 신재은…'아이디까지 공개'
- 전지현 76억에 산 삼성동 주택 130억에 매각…새주인은 여기어때 창업자
- '아빠 구하려 나라가 뭘 했나'…北피격 공무원 아들 대통령에 자필편지
- 김미화, 첫 아기 유산 고백→36세 발달장애 아들 연주에 눈물까지
- 안선영 다 벗은 몸 본 남편 '산돼지인 줄 알았네…요즘은 설렌다'
- '전지현 남편' 최준혁 대표, 알파자산운용 최대주주 됐다
- 비·김태희 자택에 초인종·고성…소속사 '가족들 큰 공포, 법적대응'
- '트로트 가수' 권도운, 동성애자 커밍아웃 '성소수자 인권 대변하고파'
- '귀신이 보여요' '문신 있어요' 병역기피 6년간 342명 적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