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질의 '캐시백', 20년 전 '드림팀'보다 긴장감 떨어진 이유

김교석 칼럼니스트 입력 2020. 9. 30. 15:05 수정 2020. 9. 30. 15: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막 내린 '캐시백'이 돈을 다시 당기려면

[엔터미디어=김교석의 어쩌다 네가] 새로운 시도로서 환영한다. 6회 왕중왕전을 끝으로 첫 번째 막을 내린 <캐시백>은 CJ ENM과 미국의 대표적 TV 프로그램 스튜디오 버님-머레이 프로덕션(Bunim-MurrayProductions)이 공동으로 포맷 기획한 스포츠 게임쇼다. tvN의 글로벌 합작 기획 프로젝트의 일환이며 관찰예능으로 헤게모니가 넘어간 이후 다양성 측면에서 흥미로운 시도다. 예능 포맷 공동개발은 우리 콘텐츠의 현지화와 세계화를 이루는 데 이점이 있고, 시청자들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선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캐시백>은 운동능력을 바탕으로 벌이는 직관적인 재미가 있어서 문화적 장벽이 낮고 세트 제작에서 게임의 룰까지 확실한 매뉴얼이 있어 세계 어디서든 승부를 볼 수 있다. 미국 제작사 대표는 "재미있고, 시각적으로 즐겁고, 무엇보다 높은 신체 능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궁극적인 형태의 게임쇼"라며 기대감을 드러내고, "현지와 전 세계 시청자 마음을 사로잡을 혁신적인 포맷"이라고 추켜세웠다.

하지만, 시즌1의 결과 이 대표의 자신감과 달리 우리나라 시청자들을 사로잡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나름 캐릭터도 만들고, KBS2 <씨름의 희열> 출신 스타들, 김동현, 이상화, 니퍼트 등 운동선수 출신들이 '헌터스'라는 이름으로 대거 출연해 대결하고, 게임의 승부가 돈으로 즉각 환산되는 특징이 있긴 하지만, 들어간 비용과 출연진들의 노고에 비해 <캐시백>만의 짜릿함은 잘 드러나지 않았다. 캐스팅의 신선함, 세계관 구축 차원에서 새로움이 떨어지는 탓이다. 몸 쓰는 예능에 익숙한 인물들이 나오고, 또 매회 대결 상대가 바뀌다 보니 캐릭터플레이가 살지 못했다.

게임종목도 총 4가지가 있지만, 1R(점프), 2R(파워), 3R(클라임) 파이널까지 마련한 게임의 대부분이 피지컬과 파워가 크게 요구된다는 점도 다이나믹스를 떨어뜨린다. 애초에 여성 출연자는 핸디캡이 상당히 크고, 몸개그 담당과 피지컬 담당이 아예 나뉘어 이변을 기대할 요소가 너무 적다. 실제로 팀간 대결인데 황치열과 태백, 금강급의 민첩함을 겸비한 씨름 선수들을 구성된 '천하장사 헌터스'의 독주는 경쟁 구도를 깨트렸다. 니퍼트가 그나마 대적하긴 했지만 승부의 추가 기울어져 진행되다 보니 라이벌리나 긴장감 조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운동능력의 기준치를 높인 탓에 머리싸움, 전술, 팀웍, 이변 등이 거의 드러나지 못해 단조로워졌다.

그리고 <캐시백>이 어려움을 겪은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이들이 자신하고 내세운 스케일에 있다. 1200평 규모의 대규모 세트장에서 벌어지는 피지컬 게임쇼라고 하는데, 딱 지금의 기대와 성적만큼의 관심을 모을 정도다. 세트와 도전 코스 자체가 화제가 될 정도가 아니다. 게다가 급변하는 시대에 맞춰 유연함을 추구하는 요즘 예능 콘텐츠와 맞지 않는 단점이 커 보인다. 한번 지어놓은 세트는 작은 장치의 추가와 변화가 있긴 하지만 대결 종목 자체가 가변적이지 않다 보니 6주간 같은 게임을 수차례 반복해 보는 단조로움이 스케일이 주는 압도감이나 기대보다 크게 느껴졌다.

약 30년 전 일요일 아침마다, 온 국민의 손에 땀을 쥐는 스포츠 예능이 있었다. KBS의 서바이벌형 모험 쇼 프로그램 <열전! 달리는 일요일>은 소정의 상금과 TV에 얼굴과 이름이 나온다는 명예로운 부상을 걸고 회당 10여 명 내외의 대여섯 팀이 참여해 헬멧과 보호대를 차고 단계별 관문을 통과해 우승팀을 가리는 대결을 펼쳤다. 그 유명한 물대포와 공이 오가는 구름사다리를 통과하는 게 메인 이벤트였다. 관문을 통과해나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이야기가 생겼고, 그리고 중간에 패자부활전을 진행해 우승으로 가는 길목에 변수를 주어 몰입도를 높였다. 비록 당시 전 세계적으로 히트를 친 일본의 《풍운의 젠다성》을 표절하긴 했지만 긴장감 넘치는 승부로 대단한 인기를 끌었다.

그리고 이 승부에 빨려들게 만든 건 당시 용인 자연농원과 쌍방울이 운영하던 무주리조트의 광활한 야외에서 펼쳐지는 놀이동산급 세트와 출연자들의 헬멧이었다. 기존에 본 적 없는 와일드한 풍경이었고, 헬멧과 보호대는 그만큼 위험하다는 리얼리티를 담보하는 설정이었다. 스케일로 승부를 본다는 건 이런 것이다. 2000년대 최고의 예능 중 하나였던 <출발 드림팀>은, 스타들의 몰랐던 운동능력을 보는 의외성, 그리고 붙박이 출연자들의 기록 경신을 기대하는 스토라라인이 있었다.

반면 <캐시백>은 기대와 노력에 불구하고 스케일 면에서 별다른 특색을 선보이지 못했다. 고정 출연자가 없고, 대결 구도의 단순화, 대결 종목의 반복이란 차원에서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 요소도 부족했다. 코로나로 인해 무관중 경기를 펼치다 보니 반감된 긴장감, 현장감도 컸겠지만 <캐시백>이 돈을 다시 당기려면 스케일에 대한 고민부터 캐스팅 방식까지 프로그램의 세계관 구축에 대한 고민이 더욱 필요해 보인다.

칼럼니스트 김교석 mcwivern@naver.com

[사진=tvN]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