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9조 원전해체시장 뜬다..정부 연구소 설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탈(脫)원전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는 원전업계 지원을 위해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을 허가했다.
앞서 정부는 2017년 6월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을 계기로 원전해체 산업 육성과 해체기술 실증을 위한 인프라로 동남권에 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을 통해 국내 원전의 효과적인 해체 수행과 글로벌 시장 진출에 이바지하고 에너지산업의 지속적인 발전, 국민안전 및 환경보호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탈(脫)원전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는 원전업계 지원을 위해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을 허가했다. 이들에 원전해체 산업 육성을 주도하라는 의미다.
정부는 앞으로 100년 후 세계 원전 해체 시장이 549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기관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달 21일 공고를 통해 '원전해체연구소'를 공익 재단법인으로 설립을 허가했다고 23일 밝혔다.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인근(부산 기장군 장안읍 해맞이로 454)에 한국수력원자력 산하로 설립하는 원전해체연구소는 원전해체분야 기술 자립을 주도하는 산업지원 및 기술개발 기반의 구축을 통해 관련 산업의 진흥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전정책의 패러다임을 건설에서 해체로 옮기고 있는 문재인정부 에너지전환 정책의 핵심기관 역할을 하게 된다.
앞서 정부는 2017년 6월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을 계기로 원전해체 산업 육성과 해체기술 실증을 위한 인프라로 동남권에 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이후 설립방안 연구와 부지 선정을 거쳐 재원 분담방안 협의 등을 진행해 왔다.
일단 사업비 3223억원을 투입해 2021년 하반기까지 착공에 들어가는 게 목표다. 원전사업자인 한수원을 포함해 공공기관이 1934억원을 출연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설립 이후 R&D(연구개발) 사업을 통한 장비구축 등에 1289억원을 부담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른바 탈원전 정책으로도 불리는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신규 원전 건설과 노후 원전 수명 연장을 중단하는 대신 일감 부족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원전산업계 지원을 위해 원전 수출과 해체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원전 해체시장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만큼 기술력만 빠르게 갖춘다면 시장 선점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정부 판단이다. 실제로 전 세계 운영 중인 원전 약 450기 중 운영 연수 30년 이상인 원전은 305기(68%)에 달한다. 이미 영구정지된 원전 173기 중 해체가 끝난 원전도 21기에 불과하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년 무명 배우가 400만 유튜버로 대박난 사연[머투맨] - 머니투데이 뉴스
- '전참시' 고은아, 친언니 결혼식장에서 쫓겨난 이유는? - 머니투데이 뉴스
- "전처 못 잊어"…눈 앞에서 새 연인 살해한 살인마의 결말 - 머니투데이 뉴스
- 유독 크게 하락한 한국증시…두번째 ‘저가매수’ 기회일까 - 머니투데이 뉴스
- 외신이 보는 韓 코로나…"통제불능 상태 우려" - 머니투데이 뉴스
- 임영웅과 열애설 났던 소유…"굳이 나서 해명 안 했다" 왜? - 머니투데이
- '일라이와 이혼' 지연수 "거짓 방송 의혹 제기자, 벌금형 받아" - 머니투데이
- 매년 200억 버는 골프장을 반도체공장으로 - 머니투데이
- 전현무, 전여친 저격? "술 취해서 집 비밀번호 까먹는 거 최악" - 머니투데이
- "제발 정신 좀 차려"…'불화설' 박재범·제시, 직접 입장 밝혔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