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k] 알프스에 묻힌 비극의 흔적..기후변화로 하나씩 드러나

이서윤 에디터 2020. 7. 15. 15: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알프스 빙하 속에 묻혀 있던 물건들이 기후변화로 수십 년 만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지 시간으로 지난 13일 영국 가디언 등 외신들은 알프스산맥 최고봉인 몽블랑산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그 속에서 발견되고 있는 물건들에 대해 보도했습니다.

눈 속에 묻힌 뒤 수십 년간 빙하에 갇혀 있었던 여객기 속 물품들과 유해들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2년부터였습니다.

2017년에는 녹아내린 빙하 속에서 유해 두 구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알프스 빙하 속에 묻혀 있던 물건들이 기후변화로 수십 년 만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현지 시간으로 지난 13일 영국 가디언 등 외신들은 알프스산맥 최고봉인 몽블랑산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그 속에서 발견되고 있는 물건들에 대해 보도했습니다.

몽블랑산 해발 1,350m에서 카페 겸 식당을 운영하는 33살 티모테 모틴 씨는 최근 빙하 사이에 삐져나와 있는 종잇장들을 발견했습니다. 무려 54년 전 인도에서 발행된 1966년 1월 20일 자 신문이었습니다. 1면에는 자와할랄 네루 인도 초대 총리의 외동딸 인디라 간디가 인도의 첫 여성 총리로 당선됐다는 소식이 담겨 있었습니다.


이 신문은 1966년 1월 24일 인도 뭄바이에서 영국 런던으로 가다가 추락한 '에어 인디아' 제101편 여객기 사고의 잔해로 추정됩니다. 당시 여객기는 항공 관제소와 통신이 끊긴 후 머지않아 알프스산맥에 추락했고, 승객과 승무원 117명 전원이 이 사고로 숨졌습니다.

눈 속에 묻힌 뒤 수십 년간 빙하에 갇혀 있었던 여객기 속 물품들과 유해들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2년부터였습니다. 당시 '인도 정부 공무, 외교 문서, 외교부'라고 적힌 서류 뭉치가 처음 발견됐고, 이듬해에는 에메랄드, 사파이어, 루비 등 최대 24만 6천 유로(약 3억 4천만 원) 가치의 보석들이 들어 있는 상자가 발견됐습니다. 2017년에는 녹아내린 빙하 속에서 유해 두 구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모틴 씨가 여객기 사고의 잔해를 발견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그는 "친구들과 빙하 근처를 산책할 때면 잔해가 자주 눈에 띈다"며 "보통 작은 잔해는 작은 빙하에, 큰 잔해는 큰 빙하에 실려 떠내려 온다"고 설명했습니다.

빙하에 묻힌 옛날 물건을 수집한 뒤 비싸게 판매하기 위해 알프스산맥을 찾아 오는 방문객들도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모틴 씨가 발견한 신문도 50여 년의 세월이 무색하게 사진, 글씨가 번지지 않고 남아 있어 큰 가치를 지녔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모틴 씨는 "내 이익을 위해 사고 잔해들을 사용하지는 않을 생각"이라며 신문을 모두가 볼 수 있도록 자신의 가게에 전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뉴스 픽' 입니다.

(사진='WION' 유튜브)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