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백선엽 장군 영결식..엇갈린 평가 속 대전현충원에 영면

김학휘 기자 2020. 7. 15. 12: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6·25 전쟁영웅이다, 친일파다, 평가가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오늘(15일) 오전 고 백선엽 장군의 안장식이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진행됐습니다.

김학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한국군 최초 4성 장군인 고 백선엽 예비역 대장의 영결식이 오늘 아침 서울아산병원에서 진행됐습니다.

육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진행된 영결식에는 유가족을 비롯해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역대 육군참모총장, 에이브럼스 주한미군 사령관 등이 참석했습니다.

[서욱/육군참모총장 : 피와 땀과 눈물로 지킨 대한민국을 굳건하게 지켜나가는 임무 완수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아산병원을 출발한 영구차는 서울현충원이나 평택 미군기지 등 다른 곳을 들르지 않고 곧바로 장지인 대전으로 이동했습니다.

안장식은 오전 11시 반 한미 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거행됐습니다.

고 백선엽 장군은 6·25전쟁의 시작과 끝을 함께했지만 독립군 잡는 간도 특설대, 친일 행적으로 엇갈린 평가와 장지 논란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습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오른 인물인 만큼 국립묘지에 안장하면 안 된다는 주장과 6·25 전쟁 공적을 고려해 서울현충원 안장이 아니면 홀대라는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했습니다.

안장식이 열린 대전현충원 앞에서는 국립묘지 안장을 놓고 찬반 단체가 대치하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서울현충원 장군 묘역에 자리가 다 찼다면서 유가족과 협의를 거쳐 대전현충원 안장이 결정됐다고 밝혔습니다.

김학휘 기자hwi@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