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디프테리아, 민주콩고 에볼라..세계는 지금 '감염병과 사투'
[경향신문]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가 1300만명에 육박한 와중에 디프테리아, 페스트 같은 각종 감염병까지 국지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했다. 코로나19에 방역 역량을 한계치까지 투입한 상황에서 또 다른 감염병이 유행할 경우 대응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각국 보건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12일 질병관리본부 주간 해외 감염병 발생동향(7월3~9일)을 보면, 디프테리아·에볼라 등 감염병이 국지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이 중 방역당국이 가장 주시하고 있는 것은 디프테리아다. 코로나19를 비교적 성공적으로 막아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베트남에서는 디프테리아로 벌써 3명이 사망했다. 지난 6월1일~7월7일 환자가 총 63명 발생했다. 급성 호흡기 감염병인 디프테리아는 치사율이 10%에 이를 정도로 높다. 방역당국은 “12세 이하 어린이와 베트남 출국 예정자는 디프테리아 예방접종을 꼭 해달라”고 강조했다.
방역당국이 다음으로 주의 깊게 보고 있는 것은 에볼라다. 5월18일부터 6월26일 사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환자가 38명 발생했고, 이 중 14명이 사망했다. 치명률이 36.8%나 된다. 이선규 질본 위기분석국제협력과장은 “콩고민주공화국 지역 외 전파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치명률이 워낙 높아 상시적으로 감시하고 있는 감염병”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가 진정세로 돌아서는 듯했던 중국에서는 돼지독감에 흑사병까지 발생했다. 중국 네이멍구에서는 지난 5일 목축민 1명이 림프절 흑사병(페스트) 확진 판정을 받은 데 이어 인근 3개 지역에서 페스트균이 검출됐다. 지난 1일 몽골에서도 불법 사냥한 마멋(다람쥐과 포유류 동물)을 먹은 형제가 페스트 확진 판정을 받았다.
카자흐스탄 주재 중국대사관에 따르면, 지난 1~6월 사이 카자흐스탄에서는 원인불명 폐렴으로 1700여명이 사망했다. 하지만 카자흐스탄 보건당국은 “원인불명 폐렴이 아니라 진단검사를 받지 않은 코로나19 환자”라고 주장했고, 한국 정부 역시 카자흐스탄 정부의 주장이 더 신뢰성이 있다는 입장이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코로나19 외에도 인류를 위협하는 감염병이 등장·확산되고 있다”며 “코로나19 예방수칙 준수 노력이 다른 감염병 극복에도 힘을 발휘할 것”이라고 했다.
이혜인 기자 hyei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홍준표 “명태균 만난 일, 통화한 일 없다” 했지만…음성파일·동석 사진 나왔다
- 대구 ‘수성못’에 들어선 9억원 짜리 화장실···‘부글부글’
- 이재명, ‘비명횡사’ 박용진 만나 “가슴 아플 것 알아…큰 역할 해달라”
- 경찰, ‘고양 음식점 살인’ 사망자 옆 쓰러져 있던 여성 용의자로 특정
- 고려대 무전공 36명 모집에 733명 추가 합격…‘유형1’ 선발엔 무슨 일이
- 윤석열 “김건희-조태용 주고받은 문자, 나도 내용 궁금”
- 차에서 숨진 채 발견된 영주시 6급 공무원…“직장 내 괴롭힘 인정”
- 홍준표 ‘명태균 휴대폰에 카톡 대화’ 의혹에 재차 반박…“가짜 변호사 난무” 주장
- 한동훈이 밝힌 경력에서 ‘검사’ 뺀 이유 “법무장관 했으니까, 조선제일검 소문 있었고”
- 제1공수여단장 “대통령이 국회의원 끄집어내라 지시했다고 들었다”